![]() |
새마을금고 자금 이탈 규모가 감소세로 전환된 지 이틀째인 지난달 9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새마을금고 지점의 모습. 연합뉴스 |
7월 초 이른바 '뱅크런' 사태로 17조원 넘는 돈이 빠져나갔던 새마을금고에 다시 자금이 모이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 지원과 새마을금고 자구 노력 등으로 지난달 2조원 가량 순유입이 된 것이다.
14일 한국은행과 새마을금고중앙회 등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 수신 잔액은 241조8천559억원으로 6월 말(259조4천624억원) 대비 17조6천65억원이나 쪼그라들었다. 당시는 '새마을금고 위기설'로 예적금 대량 해지 사태가 있었던 시기다.
이후 담당부처인 행정안전부 등은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해지한 계좌를 재예치하면 이자를 복원해 준다는 비상 대책까지 발표했다. 개별 금고들도 고금리 상품을 잇달아 출시하며 예수금 이탈방지에 총력전을 폈다.
이에 지난달(8월)엔 전월보다 2조원 가량이 금고에 순유입됐다. 9월에도 이런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변동 폭이 큰 예수금과 달리 대출은 200조원 내외에서 유지되다가 최근 소폭 감소세다. 7월 말 기준 대출액은 195조5천592억원으로 전월 (196조5천381억 원)보다 9천789억원 줄었다.
대출액은 지난해 12월 201조6천억원대를 기록한 이후 완만한 하강 곡선을 그린다. 특히 새마을금고가 저금리, 부동산 호황 시기에 공격적으로 늘려온 기업대출(부동산 담보, 관리형토지신탁 대출 등) 증가세가 둔화세다.
기업대출은 2021년 말 85조4천억원에서 지난해 말 110조6천억원으로 급증했다. 올해 3월에도 112조1천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6월엔 111조4천원으로 증가세가 한풀 꺾였다.
새마을금고도 '몸집 줄이기' 등 자구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연초만 해도 '연내 자산 300조 달성'을 목표로 내걸면서 외형 확대에 주력했다. 뱅크론 위기를 겪은 뒤 자산 건전성과 수익성 개선을 우선 고려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행정부는 금고 자체별 거액의 기업대출 취급을 금지하고 새마을금고 중앙회와 연계한 경우만 허용키로 했다. 새마을금고를 설립하는 데 필요한 출자금 기준도 대폭 상향조정했다. 출자금 기준은 2025년 7월부터 단계적으로 상향된다. 2028년 7월부터는 현재의 3∼5배로 강화된다.
이지영기자 4to11@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