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이 황상무 시민사회수석비서관의 사의를 수용했다고 20일 밝혔다.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이 지난해 12월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민제안 정책화 과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비서관의 사의를 수용했다.
총선을 앞두고 황 수석의 '발언 논란'으로 여권에서 위기론이 커지자, 윤 대통령 및 황 수석이 결단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당정갈등이 봉합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대변인실 명의의 언론공지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KBS 기자 출신인 황 수석은 지난해 12월4일 총선 출마를 위해 물러난 강승규 전 수석 후임으로 임명됐으나 3개월여만에 물러나게 됐다. 황 수석이 언제 윤 대통령에게 자진 사퇴 의사를 전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황 수석은 지난 14일 MBC를 포함한 대통령실 출입 기자들과 오찬 자리에서 1980년대 언론인 회칼 테러 사건과 5·18 민주화운동 배후 의혹 등을 언급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이후 황 수석은 야권과 언론단체들이 비판을 제기하자 이틀 만인 16일 입장문을 통해 "저의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사과드린다"고 사과했다. 다만 사퇴 요구에는 "앞으로는 공직자로서 언행을 각별히 조심하고, 더 책임 있게 처신하겠다"며 사실상 거부했다.
하지만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특히 수도권 등에서 여론이 악화하는 듯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여당 지도부와 수도권 출마자들을 중심으로 황 수석 거취에 대한 압력이 갈수록 세지면서, 사건 발생 엿새 만에 물러나게 됐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17일 황 수석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발언이고, 본인이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고 요구 한 바 있다다. 한 위원장은 전날에도 "국가 운명을 좌우하는 중대한 선거를 앞두고 민심에 민감해야 한다는 제 생각을 말씀드렸다. 국민들께서 총선 앞에 다른 이슈보다 이런 것에 관심을 많이 갖고 계시기 때문에 그 부분을 정리해야 할 필요성을 말씀드린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특히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외압 의혹으로 수사받던 이종섭 주호주대사 부임 논란에 황 수석 문제까지 겹쳐 당정 간 충돌로 비화할 조짐마저 보이자, 황 수석 및 윤 대통령 모두 '결단'을 내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치권은 황 수서기 사퇴하면서 총선을 과정에서 불거진 당정 갈등이 고비를 넘길 수 있을 지 주목하고 있다. 정치권의 관계자는 "한 위원장의 요구에 윤 대통령이 사실상 응답한 만큼 갈등은 일단 봉합 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라며 "다만 이종섭 대사 논란과 비례대표 공천 논란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기에 갈등이 재점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