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회담이 2년여 만에 성사되면서 논의 의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지난 19일 통화에서 회담을 합의했고 의제 조율에 돌입했다. 대통령실 한오섭 정무수석비서관과 민주당 천준호 당 대표 비서실장이 22일 만나 영수회담 시기와 의제, 참석자 등을 두고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회담 시기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이 대표가 23일과 26일에 재판 일정이 있어 24~25일쯤 열릴 가능성이 높다.
핵심 현안은 재난지원금 성격의 '민생회복지원금'이 될 전망이다. 이 대표는 지난 총선에서 '전 국민 1인당 25만 원'으로 대표되는 지원금을 공약했다. 지역화폐로 지급되는 이 지원금에는 총 13조 원 규모의 예산이 소요되는데, 민주당은 정부·여당에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요구한 상태다.
'의정 갈등'으로 인한 의료 공백 사태, 전세사기 특별법, 제2 양곡관리법 등 민생 관련 현안들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민생 현안 뿐아니라 민주당에서 5월 임시국회 처리를 예고한 '해병대 채 상병 특검법' 등 각종 특검법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인지도 관심사다. 일각에선 현 정부 들어 처음으로 영수회담이 추진되는 만큼 양측의 의제 조율 과정에서 정국의 뇌관 격인 '정치 의제'는 제외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 특검법' 등 여권이 반대해온 특검법안들을 재처리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무총리, 대통령실 비서실장 후임 인선과 관련해 이 대표가 어떤 입장을 내놓을 지도 주목된다. 이 대표는 최근 민주당 인사인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이 하마평에 오른 데 대해 불쾌감을 드러낸 바 있다.
국무총리의 경우 야권의 협조가 필수적인 만큼 논의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 대통령과 이 대표가 '협치'에 공감대를 형성하며 이른바 '거국 내각' 구성 문제까지 논의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