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운영위원회 '채상병특검' 두고 공방…"전화 기록 주체 밝혀"vs"공수처 수사가 먼저"

  • 정지윤
  • |
  • 입력 2024-07-01 14:39  |  수정 2024-07-01 14:40  |  발행일 2024-07-01
2024070101000033100000791
1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 연합뉴스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실 현안질의에서 야당이 추진하는 채상병특검법과 관련해 여야 공방이 벌어졌다.

1일 더불어민주당은 정진석 비서실장 등 대통령실 참모진을 상대로 이른바 '윤석열 대통령 격노설'의 파악하기 위해 집중 질의에 나섰다.

추미애 의원은 지난해 7월 1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한 기록이 있는 대통령실 유선 전화 '02-800-7070' 사용 주체를 밝히라고 요구했다. 추 의원은 "지난해 8월 2일과 8일 사이 (윤 대통령이) 휴가를 갔는데 그 당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부부와 접촉을 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말했다.

고민정 의원은 문제의 통화 이후 대통령실 전화 회선이 재배치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재배치한 것이 확인되면 증거인멸"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채상병특검법에 대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가 먼저라고 주장했다.

권영진 의원은 "'공수처를 못 믿겠다, 특검으로 가자'는 것은 스스로 공수처를 주장했던 분들의 자기 부정"이라고 했다.

강명구 의원은 지난 2021년 9월 당시 대장동 특검 관련 발언을 언급하며 "이것이야말로 (야당의) 전형적인 내로남불"이라고 말했다.

운영위에서는 업무보고 사전 협의 문제를 놓고서도 공방이 일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 비서실·안보실·경호처의 업무보고 자료가 사전에 제출되지 않은 점을 문제 삼았다. 국민의힘은 여당 간사도 공식 선임되기 전인데 무슨 협의가 이뤄질 수 있었겠느냐고 반발했다.

민주당 간사인 박성준 의원은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인 배준영 의원을 향해 "(대통령실이) 아예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상태"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은 야당의 항의에 '갑질'이라며 반발했다.

이날 국민의힘은 여당이 운영위원장을 계속 맡았던 관례를 들어 야당이 운영위원장을 차지한 데 대해 유감을 표했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역대 운영위원장은 여당이 맡아온 오랜 관례가 이번에 깨져서 매우 유감스럽다. 조만간 이런 관행이 회복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지윤기자 yooni@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지윤

영남일보 정지윤 기자입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