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 초복(15일) 때는 삼계탕을 부담 없는 가격에 즐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계 가격이 내리면서 전통시장에서 구매하는 삼계탕 재료비가 작년보다 7.5% 떨어져서다.
최근 집중호우로 닭 수십만 마리가 폐사됐지만 초복을 앞두고 육계농가에서 공급을 늘렸다. 육계(고기용)는 폐사 비중이 적어 공급 전선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14일 전문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정보'는 이날 영계와 수삼·찹쌀·마늘·밤·대파·육수용 약재 등 삼계탕 재료 7개 품목의 가격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전통시장에서 구매하면 영계 네 마리와 수삼 네 뿌리, 찹쌀 네 컵 등 삼계탕 4인분 요리 기준으로 3만2천260원이 필요하다. 1인분 기준으로 8천원인 셈이다.
이는 5년 전 대비 26.3% 올랐지만, 작년(3만4천860원)에 비하면 7.5%(2천600원) 저렴하다.
총재료비가 내린 것은 삼계탕용 영계 가격이 내려서다.
실제 전통시장에서 구매할 경우, 영계 네 마리(2㎏) 가격은 1만6천원으로 지난해보다 16.7%(3천200원) 정도 싸졌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전체 육계 1㎏당 소매가격은 1년 전보다 7.2% 내린 5천988원이다. 삼계탕용 닭은 5∼6호(500∼600g대)를 주로 사용한다.
인건비와 사룟값은 상승 추세지만 육계 농가에서 복날을 맞아 공급량을 최대 15%가량 늘려 삼계탕용 영계 가격이 작년 7월 초보다 10% 이상 하락했다는 게 유통가의 설명이다. 고물가에 소비심리가 위축된 점도 영계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삼계탕 재료 중 찹쌀과 대파 가격은 전통시장 기준으로 작년보다 각각 12.5%, 25.0% 상승했다.
찹쌀은 추수철인 가을이 오기까지 재고량이 줄고, 대파는 최근 폭염과 잦은 비로 생육 환경이 좋지 않아서다. 7개 재료 중 나머지 4개 품목 가격은 작년과 같았다. 삼계탕 재료를 슈퍼마켓과 대형마트에서 구매하는 비용은 4인분 기준으로 각각 4만2천150원, 4만3천360원으로 집계됐다.
전통시장 재료비(3만2천260원)와 비교하면 슈퍼마켓은 30.7%, 대형마트는 34.4% 각각 비싸다.
전통시장에서 4인분 재료를 구매해 조리하면 1인분에 8천원, 슈퍼마켓과 대형마트에서 구매해 조리하면 1만원대에 각각 먹을 수 있다.
이지영기자 4to11@yeongnam.com

이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