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29일 "정부의 의료 개혁은 중요한 국가적 과제다. 다만 그 추진 과정에서 국민의 걱정과 불안감도 잘 듣고 반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응급 의료 체제 붕괴를 우려한 발언으로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 진료체제가 원활히 가동되고 있다"는 주장과 상반된 입장이다.
한 대표는 2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에서 "의료개혁은 반드시 필요하고, 그 동력은 국민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의료 개혁 상황에서는 두 가지 판단이 필요하고, 어쩌면 전부라고 생각한다"며 "첫째, 대안과 중재가 필요할 정도로 응급실이나 수술실이 심각한 상황이냐에 대한 판단이 있어야 한다. 둘째, 만약 심각한 상황이라면 실효적 대안은 무엇이 있을지다"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 당국은 첫 번째에서 충분히 관리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이고, 저는 국민 여론과 민심을 다양하게 들어본 결과 현 상황이 심각하다고 판단했다"며 "그래서 대안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한 대표 자신이 내놓은 '2026학년도 의대 증원 유예' 발언은 의료 개혁의 본질과 동력을 잃지 않되, 응급 의료 체제 붕괴를 막기 위한 대안이란 뜻으로 해석된다.
한 대표는 "다만 이런 대안 제시에 대해 당정 갈등 프레임으로 이야기하거나 보도하는 분도 많다"며 "그런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은 절대적으로 우선시 돼야 할 가치다. 이 앞에서 당정 갈등 프레임은 낄 자리가 없고 사치스러운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 대표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해서 정부와 당이 좋은 결론을 내고 국민에게 공감받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 대표의 이날 발언은 자신의 기존 입장은 일단 유지하되, 정부와 대통령실이 더 좋은 대안을 제시하면 언제라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 대표는 지난 25일 고위 당정 회의가 끝난 후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 유예'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와 대통령실은 "의대 증원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며 거부 의사를 밝혔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서민지
정경부 서민지 기자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