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29일 서울 강남구 삼성2동주민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 앞에서 시민들이 줄을 서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29일 대구지역 투표율이 13.42%로, 우려대로 전국 '꼴찌'를 기록했다. 반면 전국 사전투표율은 19.58%로 역대 대선 중 가장 높았다. 대구·경북이 지난 대선보다 하락한 가운데 부산·울산·경남(PK) 투표율 역시 모두 하위권으로 집계돼 보수진영의 실망감과 불안감이 그대로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2·3·4·5면에 관련기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까지 진행된 대구 사전투표율은 13.42%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보다 6%포인트나 차이를 보인 것은 물론, 지난 20대 대선(2022년·15.43%)에 비해서도 약 2%포인트 줄었다. 경북은 16.92%로, 20대 대선 첫날(20.99%)에 비해 4%포인트 가까이 감소했다. 대구·경북 모두 첫날 지역별 사전투표율 1위를 기록한 전남(34.96%)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셈이다. 대구에선 군위군(22.51%)이 가장 높았고, 달성군(11.63%)이 가장 낮았다. 경북에선 울릉군(24.2%)이 가장 높았고, 경산시(13.49%)가 가장 낮았다.
대구는 전국 단위 선거에서 사전투표율이 꾸준히 최하위권을 기록했고, 본 투표에서 겨우 꼴찌를 벗어나는 경향을 보여 왔다. '사전투표'에 대한 불신의 벽이 높다는 방증이다. 즉 지역 내 주류인 보수 성향 유권자들을 중심으로 퍼져 있는 '사전투표=부정선거'라는 인식이 해소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실제 이날 서울의 한 투표소에서 투표용지가 외부로 반출돼 논란이 불거졌고, 선관위가 바로 사과하는 등 '부실 관리'에 대한 지적이 끊이질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보수 정치권에 대한 실망감도 투표율 저하의 한 원인으로 꼽는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보수진영의 내부 갈등과 후보 단일화 논란 등으로 유권자들의 실망이 컸다는 것. 이날 PK지역에서도 모두 17%대의 저조한 투표율을 보이는 등 영남권 전체 사전투표율이 지난 대선에 비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이 같은 해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재훈
서울정치팀장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