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원내대표 출마 선언하는 서영교 의원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원대대표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2025.6.5 utzz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민주당 원내대표 출마 선언하는 김병기 의원
(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2025.6.5 [김병기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utzz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06/rcv.YNA.20250605.PYH2025060517260001300_P1.jpg)
민주당 원내대표 출마 선언하는 김병기 의원 (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2025.6.5 [김병기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utzz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정부와 호흡을 맞출 집권여당 더불어민주당이 새 원내대표 선출에 돌입했다. TK(대구경북) 출신 4선의 서영교 의원과 '신명'(신이재명)계로 분류되는 3선의 김병기 의원이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돕기 위해 출마를 선언했다.
서 의원은 5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완전한 내란 종식으로 빛의 혁명을 완수하고 이재명 대통령 시대, 국민주권 정부의 성공을 위해 뛰겠다"며 원내대표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서 의원은 이재명 당 대표 체제 당시 최고위원으로 지도부에서 손발을 맞춘 '친명'(친이재명)계로 꼽힌다. 서 의원은 "이재명 정부가 빠르게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이 대통령 중심으로 단결해야 한다. 그 주춧돌이 되겠다"며 "신속한 추경 집행으로 경제와 민생을 회복해야 하고, 필요한 법안들을 신속하게 통과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야당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합의를 끌어내겠다"고 말했다.
앞서 김 의원도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과 정부가 일심동체가 돼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며 "국민들의 열망이 모인 정권 초기에 최고의 당정관계를 구축해 이재명 정부의 성공에 이바지하겠다"고 출마를 공식화했다.
김 의원은 이 대통령이 처음 당 대표를 하던 시절 수석사무부총장을 맡았고, 지난 총선에선 후보자 검증위원장 등을 맡으며 이 대통령을 보좌한 바 있다.
김 의원은 "(야당과) 대화를 복원하고 통합으로 나아가야 한다. 상대를 인정하고 대화와 정치를 복원하는 게 첫 번째"라며 △민생경제 회복 △내란의 완벽한 종식 △국가 시스템 혁신 등을 공약했다.
민주당은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준비도 시작했다. 이날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구성을 의결했다. 전준위원장에는 4선의 이춘석 의원이 임명됐다.
차기 당 대표의 임기는 1년으로, 직전 당 대표인 이 대통령의 잔여 임기만 채우게 된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집권여당의 첫 대표라는 점과 대통령실과 긴밀한 호흡을 맞추며 국정운영을 뒷받침해야 하는 막중한 자리인 만큼 차기 당 대표 후보로는 4선의 정청래 의원과 3선의 박찬대 원내대표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정 의원은 이재명 대표 체제 1기 지도부에서 수석 최고위원을 지냈고,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과 법제사법위원장을 역임했다. 특히, 법사위원장으로 12·3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강한 존재감을 보였다.
현재 대표 권한대행인 박 원내대표도 강력한 후보다. 지난해 친명계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사실상 추대 형식으로 원내대표에 선출됐다. 비상계엄과 윤 전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당을 진두지휘한 이 대통령과 보조를 맞춰 이재명 정부 탄생의 1등 공신으로 꼽힌다.
차기 전당대회에서는 당 대표와 함께 최고위원 보궐 선거도 치러질 예정이다. 김민석 최고위원이 국무총리에 지명되면서 자리를 비울 예정이기 때문이다.
한편, 민주당은 6일까지 원내대표 후보 등록을 받은 뒤 오는 13일 새 원내대표를 뽑는다. 전당대회는 준비 기간과 전례를 고려해 8월 개최가 유력하지만 대통령실과의 협업이 중요한 집권 초기에 당 대표 공백이 길어져선 안 된다는 당 안팎의 의견이 나오면서 다소 앞당겨질 가능성도 있다. 구체적인 시점은 원내대표 선출 이후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권혁준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