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오찬 간담회에 참석한 종교계 지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김종생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천태종 총무원장 덕수스님, 이용훈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주교,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 이 대통령, 김종혁 한국교회총연합회 대표회장, 최종수 성균관장, 정순택 천주교 서울대교구 교구장 대주교. 뒷줄 왼쪽부터 박인준 천도교 교령, 태고종 총무원장 상진스님, 나상호 원불교 교정원장, 김령하 한국민족종교협의회 회장.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7대 종교 지도자들과 만나 국민 통합과 공동체 회복을 위한 종교계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9일 낮 대통령실에서 7대 종교 지도자 11명을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가졌다고 강유정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사회통합의 길, 종교와 함께'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오찬은 종교계의 가르침을 통해 사회 갈등 해소와 국민 통합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특히 이 대통령은 전날 유흥식 추기경과 만난 데 이은 두 번째 종교계와 만남이어서 눈길을 끌었다.
먼저 이 대통령은 "선거 과정에서 걱정했던 것처럼 우리 사회가 지나치게 분열적이고 대립적이고, 갈등이 많이 격화돼 있어 참 걱정"이라며 "지금 한 달 동안은 조금씩 봉합되는 모양새가 보이기도 하는데 정치 상황이 바뀌면 또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오찬에 참석한 종교계 지도자들과 인사하며 합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 "우리 종교 지도자 여러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며 "종교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사랑과 존중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종교 지도자의 역할이 지금보다는 더 많이 요구되는 시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종교계 대표들과 다양한 사회 현안을 놓고 폭넓은 의견을 주고받았다고 대통령실 측은 전했다. 교육, 인권과 평화, 민주시민 양성, 기후 위기, 지방 균형 발전, 사회적 약자 보호, 의정 갈등 해소 등 현안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일제 강점기와 민주화 운동 시기 종교계의 역할도 언급되며 "다양한 종교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한국 사회는 세계의 자랑"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 공동대표 의장을 맡고 있는 진우 스님은 "지난 7개월은 근·현대사적으로 가장 국난에 가까웠던 시기였음에도 국민이 집단지성으로, 이성적으로 잘 갈무리해줘 정말 대단했다"면서 "결과적으로 지금의 안정된 기반을 갖기 위해 대통령이 큰 역할을 해 줘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눈시울이 뜨거울 정도로 감사한 마음이 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께서 좀 힘들고 어렵더라도 국민이 더 평안했으면 좋겠다. 우리 뜻을 함께 해서 세계 최고의 대한민국을 만들어주길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진우 스님은 "참모들은 코피가 난다는데, 대통령은 귀에서 피가 나겠다"며 대통령의 경청 자세에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종교의 본질인 용서, 화해, 포용, 개방의 정신이 우리 사회에 스며들기를 바란다"며 "종교계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어른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불교계의 진우 조계종 총무원장, 덕수 천태종 총무원장, 상진 태고종 총무원장과 개신교의 김종혁 한국교회총연합 대표회장, 김종생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천주교의 이용훈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정순택 서울대교구장, 원불교의 나상호 교정원장, 성균관의 최종수 관장, 천도교의 박인준 교령, 한국민족종교협의회의 김령하 회장 등 종단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날 제공된 식사는 생명 존중과 자비, 비폭력의 종교적 가치를 반영한 채식 위주의 한식이었으며, 오이수삼 냉채, 흑임자 두부선, 마구이 등이 포함됐다. 후식으로는 풍요와 평화, 안식, 깨달음을 상징하는 무화과가 제공됐다.

정재훈
서울정치팀장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