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북구 칠성시장 중고 주방용품 판매업소. <영남일보 DB>
지난 6월 대구경북의 폐업 사업자 수가 5천500여명에 달해 수도권을 제외하면 부산경남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규 사업자 수가 폐업 사업자 수보다 많아 새로운 도전을 하는 자영업자도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국세청이 공개한 '주요 경제 지표'에 따르면, 6월 가동사업자는 1천27만명으로, 전월보다 1만5천명 늘었다. 신규사업자는 9만6천명으로 전월보다 2천명 증가했고, 폐업사업자는 6만7천명으로 직전 달보다 5천명 증가했다.
전월 대비 창업(신규) 사업자 증가가 높은 업종은 정보기술(IT) 관련 연구개발업(336개), 도매 및 상품중개업(319개), 법무·회계·건축 및 상담업(273개), 광고업 및 기타 산업 관련 서비스업(228개), 건설업(223개) 순으로 나타났다. 폐업자 증가가 높은 업종은 음식업(1천86개), 도매 및 상품중개업(779개), 부동산업(777개), 건설업(551개) 순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와 경북의 6월 폐업사업자 수는 각각 2천715명과 2천801명로, 서울(1만3천1개)·인천(4천353개)·경기(2만559개) 등 수도권을 제외하면 부산(3천763개), 경남(3천469개) 다음으로 많았다.
반면, 이 기간 대구와 경북의 신규사업자 수는 폐업사업자보다 많은 3천538명, 3천861명이었다. 가동사업자는 대구 41만127명, 경북 46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금액(380조2천812억원)에서 대구의 비중은 2.7%(10조2천억원)를 차지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금액은 사업자 매출과 관련성이 높은 항목으로, 지역경제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다. 경북은 대구보다 높은 5.4%(20조6천억원)으로 집계됐다. 비수도권 중에선 시·도별 산업단지의 생산 및 수출액 등이 상위권인 전남(5.7%)과 경남(5.7%)의 비중이 높았다.
국세청은 앞으로 자영업자 개·폐업, 현금영수증 발급, 신용카드 사용,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수출입 현황 등 경제지표를 월별로 제공키로 했다. 기존에 연간 주기로 작성하거나 공개하지 않았던 경제지표를 매월 관련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제공해 민생·경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지역 상권 활성화 정책 수립 등에 기여하기 위해서다.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