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美 원전시장 빅딜 3건 체결…“K-원전 글로벌 경쟁력 입증”

  • 장성재
  • |
  • 입력 2025-08-26 10:26  |  발행일 2025-08-26
센트루스와 농축 설비 투자·연료 공급 확대, 차세대 연료 HALEU 확보
아마존·엑스에너지와 SMR ‘Xe-100’ 협력…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대응
삼성물산과 11GW 첨단 에너지 복합센터 건설 참여, 시장 입지 강화
한수원은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의 핵연료 및 서비스 공급사인 센트루스와 우라늄 농축 투자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및 농축우라늄 공급물량 확대 계약을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아미르 벡슬러 센트루스 CEO,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한수원 제공

한수원은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의 핵연료 및 서비스 공급사인 센트루스와 우라늄 농축 투자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및 농축우라늄 공급물량 확대 계약을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아미르 벡슬러 센트루스 CEO,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한수원 제공

한수원은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아마존, 엑스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와 미국 SMR 프로젝트에 협력하기로 하고 업무협약을 맺었다. 사진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제프리 클레이 셀 엑스에너지 CEO, 레이 포코우리 아마존 에너지정책 관리자,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한수원 제공

한수원은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아마존, 엑스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와 미국 SMR 프로젝트에 협력하기로 하고 업무협약을 맺었다. 사진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제프리 클레이 셀 엑스에너지 CEO, 레이 포코우리 아마존 에너지정책 관리자,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한수원 제공

한수원은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 민간 에너지 회사인 페르미 아메리카 및 삼성물산과 첨단 에너지 복합센터 건설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토비 노이게바우어 페르미 아메리카 CEO,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한수원 제공

한수원은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 민간 에너지 회사인 페르미 아메리카 및 삼성물산과 첨단 에너지 복합센터 건설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토비 노이게바우어 페르미 아메리카 CEO,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한수원 제공

한국수력원자력이 미국에서 원전 연료,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R), 첨단 에너지 복합센터 등 전방위 협력을 동시다발적으로 체결하며 북미 원자력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수원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핵연료 업체 센트루스와 우라늄 농축설비 투자 협력 양해각서를 맺었다. 포스코인터내셔널도 함께 참여해 미국 내 신규 원심분리기 공장에 대한 공동 투자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올 2월 맺은 농축우라늄 공급계약의 물량을 확대하는 계약도 체결했다. 국제 시장에서 우라늄 자원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안정적인 연료 공급망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센트루스는 미국 원자력안전위원회(NRC)에서 차세대 원전과 SMR에 필요한 고순도저농축우라늄(HALEU) 생산을 승인받은 유일한 기업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 오하이오 파이크턴 시설에서 첫 HALEU 생산에 성공했으며, 올해 6월에는 900kgU를 납품해 상업적 생산 능력을 확인시켰다.번 협력으로 한수원은 상용 원전은 물론 미래 원전 연료까지 안정적으로 확보할 기반을 마련했다.


또 한수원은 세계 최대 IT기업 아마존(Amazon), SMR 개발사 엑스에너지(X-energy), 기자재 공급사 두산에너빌리티와 손잡고 미국 SMR 시장 진출에도 속도를 낸다. 이날 워싱턴DC 윌러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체결된 협약에 따라, 한수원은 X-energy가 개발한 차세대 SMR 'Xe-100'을 기반으로 아마존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아마존은 청정에너지 목표 달성과 안정적 전력 확보를 위해 SMR을 도입하며, 2039년까지 Xe-100을 60기 이상 건설해 5GW 이상 전력을 공급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한수원은 설계·건설·금융·운영 등 전 주기에 참여하며 SMR 상용화 과정에 직접 뛰어든다. 이는 글로벌 SMR 경쟁에서 조기 입지를 확보하는 동시에 두산에너빌리티와 함께 한국 원전 기자재 산업의 수출 판로 확대를 열어주는 효과가 기대된다.


한수원은 삼성물산, 미국 민간 에너지 기업 페르미 아메리카(Fermi America)와 함께 세계 최대 규모(11GW) 첨단 에너지 복합센터 건설 프로젝트에도 참여한다. 이 사업은 미국 텍사스 아마릴로 인근에서 추진되며, 대형 원전 4기를 비롯해 SMR, 가스복합화력, 태양광, AI 데이터센터까지 아우르는 미래형 에너지 인프라 모델이다. 페르미 아메리카는 전 에너지부 장관 릭 페리와 토비 노이게바우어 CEO가 공동 설립한 기업으로, 미국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이번 전략적 투자 협력은 양국 에너지 자원안보 동맹을 강화하는 동시에, 포스코인터내셔널·두산에너빌리티·삼성물산 등 국내 민간 기업과 함께 안정적인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정부의 에너지믹스 정책에 부응해 원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원전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겠다"고 밝혔다.



기자 이미지

장성재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