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엽 엘엔피파트너스(주) 대표
국민의힘이 지난주 치러진 전당대회에서 결선투표까지 치르는 대접전 끝에 장동혁 의원을 당대표로 선출했다. 이번 국민의힘 새 지도부의 출범은 김문수 전(前) 대선후보를 꺾고 비교적 새로운 인물들이 지도부에 입성했다는 단순한 인물 교체를 넘어 계엄과 탄핵, 대선 패배로 이어진 멍에를 벗어던지고 과감하고도 혁신적인 당의 체질 개선과 정책 방향의 대전환이라는 숙제를 부여받게 되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전당대회는 새로운 당의 진로와 지도부를 구성하기 위해 각자 선의의 경쟁을 벌이는 정치 행위이다. 비록 선거 기간에는 상호 간에 비판과 견제를 할 수는 있지만, 선거 결과가 나오면 이에 승복하고 포용과 새 출발을 다짐하는 것이 순리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은 전당대회가 끝나자마자 경선에서 경쟁했던 후보들을 향해 탈당 요구와 정계 은퇴 등을 압박하는 발언들을 서슴없이 꺼내 들고 있다. 국민의힘의 이번 전당대회가 찬탄과 반탄 세력으로 나뉘어 극렬한 대립 구도 속에서 치러진 이유 때문이라고 하기엔 그 현실이 녹녹하지 않은 듯하여 씁쓸하다.
보수 야당을 지지하는 현장의 목소리에는 장동혁 새 당대표가 슬기로운 리더십을 발휘하여 사분오열 흩어져 있는 지지층을 좀 모아서 단합된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곳곳에서 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 출범한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에서 연일 한동훈 전 대표를 겨냥한 발언까지 나오고 있는 것이 못내 아쉽다 못해 걱정스럽다.
모 언론사의 한 시민 인터뷰를 보다 보니 "원래 야당의 역할이 정부를 견제한다는 생각은 드는데 이게 좋은 방향으로 견제해야 하는데 나라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견제하고 있는지 약간 의문은 들고 있거든요"라는 지적을 최근에 본 적이 있다. 자신을 떳떳하게 보수 지지층이라고 밝힌 분의 이 이야기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합리적 논거에 의해 책임을 강조하는 보수정치의 본질에 대한 비판을 넘어 국민의힘이 지금 처한 상황과 현실을 직격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간 보수 정치권은 '반대를 위한 반대'를 일삼는다는 명분으로 민주당을 그리고 개혁 진영을 다수당의 횡포를 부리는 독선적이고 비타협적인 집단으로 매도해 왔다. 그런데 소수 야당으로 전락해 버린 지금의 국민의힘 역시 똑같은 전철(前轍)을 밟고 있지는 않은지 돌이켜봐야 한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국민의힘을 대화 상대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하지만 장동혁 대표는 이런 민주당을 상대로 협치(協治)와 견제라는 책무를 부여받았다. 당 전체를 하나로 똘똘 뭉쳐 상대하더라도 감당하기 만만치 않은 일임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대통령이 설사 진정성 없는 형식적인 협치의 손을 내밀었다고 하더라고 이젠 소수 야당의 한계를 뼈저리게 실감해야 할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신경전만을 벌이기보다는 외교와 안보, 경제적 측면에서 국익을 위한 해결책을 논의하는 자리에 당당하게 임해야 한다.
절대 다수당인 민주당의 안하무인(眼下無人)격인 일방적이고도 고압적인 태도도, 야당의 무책임한 반대만을 위한 뻔한 선동적인 전략과 메시지도 우리 국민의 눈과 귀에는 그간 항상 봐왔던 궤변일 뿐이다. 이런 구태(舊態) 정치가 반복되면 될수록 남는 것은 정치권에 대한 국민의 불신과 냉소뿐이다. 여야 모두 대승적 차원에서 진정으로 국민을 위한다는 자세로 한 발짝씩 물러나 극한 대결의 정치에서 벗어나 협치와 공존(共存)의 정치 회복에 물꼬를 터야 한다. 국민의힘은 진짜 뼈를 깎는 각고(刻苦)의 노력을 국민께 보여줘야 할 마지막 기회임을 명심해야 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TK큐] 장애인 이동권 경계를 허물다, 스웨덴 휠체어 장애인의 하루](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0/news-m.v1.20251022.9c488fa6cf5240fba9110365d87324a3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