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구만 빠진 ‘PM’ 관리 조례…중구의회 “방치된 PM ‘위험’ 조례안 제정으로 관리 체계 마련해야”

  • 조윤화
  • |
  • 입력 2025-09-02 17:52  |  발행일 2025-09-02

대구 중구의원들 PM 관리 세부 규정 담긴 조례안 발의

대구지역 등록대수 3년새 96%↑…연간 단속 2만여건

2일 오전 대구 중구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07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권경숙 의원이 개인형 이동장치(PM) 관련 조례 제정을 촉구하는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조윤화 기자

2일 오전 대구 중구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07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권경숙 의원이 개인형 이동장치(PM) 관련 조례 제정을 촉구하는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조윤화 기자

대구 중구의회가 최근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개인형 이동장치(PM)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에 나섰다. 대구 9개 기초단체 중 농촌지역인 군위군을 제외하면 사실상 PM에 대한 제도권 차원 관리에 마지막으로 탑승하는 셈이다.


2일 영남일보 취재결과, 이날 열린 제307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권경숙 중구의원이 구의원들을 대표해 '대구시 중구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안전 증진에 관한 조례안'을 발의했다. 이 조례안엔 PM 단속·견인·보관 절차 등에 대한 세칙이 명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구의회는 오는 4일 이번에 상정된 PM 관련 조례안에 대해 심의할 예정이다. 이 안건에 대한 심의가 통과되면 오는 12일 2차 본회의에서 의결에 들어간다.


이번 안건 발의는 대구지역 PM 대수와 이와 관련한 단속 건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젊은 층의 유동인구가 많은 동성로 등 PM 이용이 잦은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조치다. 특히, 대구 9개 구·군(군위군 제외) 중 유일하게 PM 관리에 대한 세부 규정이 담긴 조례가 없다는 게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이날 대구시에 확인한 결과, 대구지역 PM 등록 대수는 2021년 5천850대에서 2022년 6천690대, 2023년 9천430대, 2024년 1만1520대로 3년 새 96%나 증가했다.


PM 보급이 급격히 늘면서 단속 건수도 덩달아 늘었다. 2022년 1만430건이던 단속 건수는 2023년 2만2천747건으로 두 배 넘게 뛰었다. 지난해에도 2만1천335건을 기록,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PM 관련 교통사고 역시 매년 100여 건에 달한다. 한국도로교통공단에 확인결과, 대구에서 발생한 PM 관련 교통사고는 2022년 152건, 2023년 145건, 2024년 129건으로 집계됐다.


권 의원은 이날 5분 발언을 통해 "중구청 교통과는 도로교통법과 중구 교통안전에 관한 조례만으로 충분하다고 주장하지만, 현행 조례는 PM 안전교육을 제외하면 민원 시스템 운영, 관리 인력 지정, 견인·보관 사무 처리 등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고 예산 지원 규정도 미비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PM 관련 세부 집행 규정을 담은 조례가 없는 곳은 대구에서 사실상 중구가 유일하다. 방치된 PM 한 대는 곧 안전 사각지대로 인식되는 만큼 관련 조례를 신속히 제정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기자 이미지

조윤화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