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료 살려라” 경북대병원 노조, 총파업 기로

  • 강승규
  • |
  • 입력 2025-09-08 17:30  |  발행일 2025-09-08
서울대·강원대·충북대병원과 동참…17일 공동파업 여부 주목
노조 “국립공공의대·지역의사제 도입·인력 확충 시급”
환자 진료 차질 불가피…“공공의료 책임, 국가가 져야”
경북대병원 전경

경북대병원 전경

경북대병원 노동자들이 파업 찬반투표에 나서기로하면서 지역 공공의료체계 운영이 또 한번 중대한 기로에 놓였다. 지난 1일 사직 전공의들이 일부 복귀하면서 병원 운영에 다소 숨통을 틔었지만 또다시 위기를 맞게 된 것.


8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가 이번 주부터 투표 절차에 돌입한다. 경북대병원은 10일부터 12일까지 조합원 2천400여명(원무·간호직 등)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한다. 가결될 경우 서울대·강원대·충북대병원과 함께 오는 17일부터 공동파업에 들어간다.


경북대병원은 영남권 대표 거점병원이다. 경대병원 파업은 단순한 노사 갈등을 넘어 지역 의료체계 전반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응급·필수 진료부터 중증 환자 치료까지 의존도가 높은 만큼, 병원 운영 중단은 곧바로 지역 환자들의 치료 공백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이번에 노조가 내세운 4대 요구안은 △국가책임 강화로 공공·지역의료 살리기 △보건의료 및 돌봄 인력 확충 △노동조건 개선과 노동권 강화 △의료민영화 저지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노조는 국립공공의대 설립, 지역의사제 도입, 공공·지역의료 총괄체계 구축, 주4일제·32시간제 시행,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혼합진료 금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의료연대본부는 "정부가 공공의료 확대를 약속했지만 구체적 계획은 어디에도 없다"며 "민간 중심의 시장 체계로는 문제를 풀 수 없다.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려면 공공병원 육성과 인력 확충이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의사 증원에 반대해온 의료계와 달리, 우리는 공공의료 인력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요구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대병원은 지난 1일부터 200여명의 전공의(인턴·레지던트)가 복귀했다. 모집 정원은 인턴 98명, 레지전트 267명이었다. 지원율은 55%다.



기자 이미지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