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청년층 1천명 빠져나가는 대구 남구, ‘청년친화도시’ 도전장

  • 조윤화
  • |
  • 입력 2025-09-08 16:43  |  발행일 2025-09-08

국무조정실서 올해 3곳 선발 예정

지정 땐 행정 지원 및 국비 5억 지원

11일 토론회 열고 청년 정책 방향 논의

"청년정책 발전시킬 기회로 삼을 것"

대구 남구청사 전경. 영남일보DB

대구 남구청사 전경. 영남일보DB

지난 2월 7일 대구 남구 청년지원센터에서 열린 '2025 청년도전지원사업 취업특강' 현장. '2025 채용트렌드' 저자 윤영돈 작가가 청년들을 대상으로 강연하고 있다. 남구청 제공

지난 2월 7일 대구 남구 청년지원센터에서 열린 '2025 청년도전지원사업 취업특강' 현장. '2025 채용트렌드' 저자 윤영돈 작가가 청년들을 대상으로 강연하고 있다. 남구청 제공

연간 1천여명의 청년이 떠나고 있는 대구 남구가 '청년친화도시' 지정에 도전장을 내민다. 청년 정책을 점검·보완해 청년이 떠나는 도시에서 머무는 도시로의 전환을 모색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도전이 국비 확보와 청년친화 정책 강화라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8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남구청은 청년친화도시 지정을 위한 조례 제정과 토론회 개최 등 준비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청년친화도시는 국무조정실이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사업으로, 지역정책에 청년 참여를 촉진하고 청년의 역량 강화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지자체를 선발한다. 선정되면 지정 기간 5년 동안 맞춤형 컨설팅 등 행정적 지원을 받으며, 특히 첫 2년간은 매년 2억5천만원씩 총 5억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지난 2월 서울 관악구, 부산 부산진구, 경남 거창군이 처음 지정됐으며, 국무조정실은 올해도 세 곳을 추가로 선정할 계획이다.


남구청은 이미 청년친화도시 지정을 위한 일부 기반을 갖추고 있다는 내부 평가가 나온다. 2019년 제정된 청년기본조례를 통해 청년의 사회 참여 기회와 자립 기반 마련을 명문화했고, 지난해는 청년정책네트워크를 발족해 청년(19~39세)들이 정책 모니터링 및 제안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또 2023년 문을 연 남구청년센터는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회의실·스터디카페 공간으로 사용되며 청년 활동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구청은 청년친화도시 지정을 위한 이번 도전을 청년 정책을 점검하고 발전시키는 계기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구청 인구총괄과 관계자는 "이번 신청이 청년 정책 전반을 점검하고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비록 선정되지 않더라도 신청서를 낸 지자체는 국무조정실 컨설팅을 받을 수 있어 내년 재도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남구의회는 오는 11일 대구남구청년센터에서 '청년친화도시로 가는 길, 청년이 그리는 대구 남구' 토론회를 열고 청년 정책 방향을 논의한다. 또한 청년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재원 조달 방안 및 지원체계 등의 내용이 담긴 '남구 청년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안'도 준비 중이다. 해당 조례는 법률검토 등 절차를 거쳐 올해 말 발의 예정이다.


강민욱 대구남구의회 의원은 지난달 29일 열린 제297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7분 발언에서 "청년친화도시 지정 사업의 핵심은 청년을 정책의 설계자이자 실행 주체로 세우는 데 있다"며 "그간 '청년은 미래다'라는 말을 수없이 해왔지만 이제는 그 말을 정책과 예산, 제도로 실현할 때"라며 청년 전담 부서 신설 등을 통해 남구가 청년친화도시 지정을 위한 추진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남구의 청년 인구(만 19~34세)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22년 2만9265명에서 2023년 2만8283명, 2024년 2만6929명으로 줄었고, 올해 8월 기준으로는 2만6487명까지 감소했다.



기자 이미지

조윤화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