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오전 대구 중구 동인청사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과 대구시의 예산정책협의회에서 허소(왼쪽) 민주당 대구시당위원장과 김정기(오른쪽) 대구시장 권한대행이 지역 주요 현안과 내년도 국비 확보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현덕기자 lhd@yeongnam.com
국회 예산정국을 앞두고 대구시가 증액 대상 주요 사업에 대한 적극적 협조 요청과 여당 공조 체제 강화 등 내년도 국비 확보를 위해 배수의 진을 치고 있다.
20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시는 지난 8월말 발표된 지역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4조2천754억원, 투자사업 기준)보다 850억원 이상 늘어난 4조3천600억원의 국비 확보를 목표로 잡았다. 이를 통해 3년 연속 국비 8조원 이상 달성이 최종 지향점이다. 국비 대응 전략은 '증액'과 '감액 방어' 투트랙이다. 증액 희망 사업은 대통령 공약과 신규 사업 등으로 나뉜다.
우선, 대구시는 신산업과 지역 산업의 첨단 기술 기반 강화, 안전, 문화 등의 분야에 있어 내년도 국비 예산 증액을 추진 중이다. 영남일보가 대구시의 '국회 증액 희망 주요 국비사업' 15건을 확인한 결과, 시는 현재 △동대구벤처밸리 인공지능(AI) 테크포트 구축 △디지털트윈 3D프린팅 의료공동제조소 실증 △산업 AX 연구원 설립 △뇌 오가노이드 상용화 플랫폼 구축 △UAM 핵심부품 신기술 지원체계 구축 △제조AI데이터 밸류체인 구축 △휴머노이드 로봇 안전인증센터 구축 △미래모빌리티 AI 소프트웨어 검증 시스템 구축 사업 등에서 국비 증액을 희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산불방지 대책 △지하시설물 DB 정확도 개선 △BIT 융합 혁신허브 조성 △뮤지컬 콘텐츠 캠퍼스 아카데미 △대구 특화 출판산업 육성지원 등에도 국비 증액이 필요한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시는 기존 정부 예산안 유지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산에 있어 과감한 공격(증액)만큼 최선의 방어(예산안 유지)도 중요하다고 판단해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역거점 AX 혁신기술개발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조성 △모빌리티 부품 제조AI확산센터 구축 △대구산업선철도 건설 △대구경북신공항(민간공항) 건설 △조야~동명간 광역도로 건설 △금호워터폴리스 산단 진입도로 건설 △대구글로벌웹툰센터 조성 등이 방어대상 사업들이다.
대구시는 이달 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국회 예산안 심의 기간 중 국회현장대응팀을 운영키로 했다. 주요 쟁점사업에 대해선 국회 예산질의를 지원하는 등 내년 국비 확보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정치권과의 소통·공조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대구시와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은 20일 대구시 동인청사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예산 확보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대구시는 추가 증액이 필요한 주요 국비 사업에 대해 민주당 차원의 적극적 지원과 협조를 요청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정부 예산안에 대구의 미래 먹거리 산업들이 다양하게 반영됐다"며 "국회 본예산 통과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새 정부 출범 초기에 대구시 핵심 사업들이 2026년 국비에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함께 협력해 나가자"고 말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