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전투적 이미지 벗어나 ‘합리적’ 운영나선 임이자 기재위원장

  • 장태훈
  • |
  • 입력 2025-10-23 16:22  |  발행일 2025-10-23
호평 받은 임이자 기재위원장 첫 국감 진행
“포스트 APEC으로 지역 경제 활력 이어가야”
경북도 저출산 고령화 문제 해결 모색도 주문
기재위원장인 국민의힘 임이자(상주-문경) 의원이 23일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기재위원장인 국민의힘 임이자(상주-문경) 의원이 23일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국민의힘 임이자(상주-문경) 의원은 올해 새로운 '기록'을 썼다. 헌정사 첫 여성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지난 7월부터 재정·경제 정책을 위한 국회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임 위원장은 평소 전투적이고 강단 있는 모습으로 대구경북(TK) 정치권에서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하지만 기재위원장이 되고 나서 그의 이미지가 달라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여야 의원들 모두 차분하게 의사 일정을 진행한다는 호평을 내리고 있다. 그는"기재위원장으로서 중립적이고 공정하게 이끌어야 한다는 책무에 따른 것"이라고 했다.


처음으로 상임위원장으로서 국정감사를 진행한 임 위원장은 다양한 점들을 느꼈다고 한다. 특히 지역 경제에 대한 시야가 넓어졌고 이를 통한 지역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임 위원장은 '공정한' 국감이 되기 위해 공을 들였다고 한다. 그는 "국회에서 의정활동의 꽃은 국정감사다. 의원들 개개인이 노력해 만들어 놓은 국감 내용과 열심히 준비한 내용들이 빛을 볼 수 있도록 많이 지원해주는 위원장이 되려고 노력했다"며 "정파를 떠나 공정하고 합리적인 운영을 위해 많은 신경을 썼다"고 말했다. 그는 "기재부 공무원들도 두 손 두 발 다 들었다고 한다. 철저히 준비하다 보니 공무원들도 인정을 해준 것 같다"고 전했다.


임 위원장은 "한국은행이나 기획재정부를 상대로 하다 보니 경제를 바라보는 시야도 넓어졌다"고 했다. 특히 지역 경제에 더욱 관심이 가게 됐다는 점이 임 위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초선 땐 앞가림 하기 바빴고 재선 땐 지역구 챙기기에 바빴다"며 "3선으로 위원장이 되니 대한민국의 경제뿐 아니라 경북도 경제도 보인다"고 말했다.


임 위원장은 경북도의 경제 발전을 위해 이번 경주 APEC 회의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요한 건 포스트 APEC"이라며 "APEC이 끝나도 열기를 이어가고 그 지역을 발전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세계 속의 경주'라는 슬로건이라든지 APEC 공원 조성, 기념관 건축 등을 통해서다"고 말했다. 지역 관련한 법안을 언급하면서 그는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을 강조했다. 아무리 좋은 법안과 아이디어들이 있어도 활용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임 위원장은 국회에서 지역 산업에 대한 위기와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포항시는 현재 중국산 저가 철강 상품과 관세로 인해 많이 힘든 상황이다. 포항을 어떻게 발전시킬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했다. 구체적으로는 지역에서 요구하는 포항제철 전기 요금 인하와 노후 설비 등 K스틸법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경산 자동차 부품 업계 위기에 관해서도 "현재 대미관세가 25%인데 (자동차 부품 업계에) 지원을 해야 한다. 취약 산업 지원법이나 조세 지원 관련 법안을 발의한 상태"라며 "위원장이 할 일은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법안과 정책들을 신속하게 추진하는 것"이라고 포부를 드러냈다.


임 위원장은 지역균형발전에 대해서도 "과거엔 지방 정부 스스로 예산을 컨트롤 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았는데 요즘은 중앙 정부의 영향이 너무 커졌다"며 "현 정부 출범 후 지방 정부에서 쓸 돈이 없다. 이 부분을 다시 바로 잡아서 지방 정부에서 쓸 수 있는 예산들을 확보하고 그 지역의 특색에 맞게끔 효율적으로 예산을 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북도 문제에 대해선 "경북도가 가장 중요한 건 저출생 고령화 문제인데 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세컨하우스에 대한 세제 개편이라던가 인프라 구성 등 획기적인 방안을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 이미지

장태훈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