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시장이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 코스피(종합주가지수) 27일 4천 포인트를 돌파했다. 여러 함의를 담고 있다. 먼저 최근 상승 랠리는 시장 내부 변화의 흐름에 힘입은 바 크다. 바로 반도체 회사의 초호황 사이클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 대변되는 한국의 반도체 회사들은 세계 1,2위를 다투는 경쟁력과 함께 AI시대로 불리는 세계 경제질서의 패러다임 변화속에 가장 큰 수혜를 거둘 것이란 전망이 압도적이다. 4천 포인트 돌파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내 개인 투자자들이 의미있는 수익을 내지 못하며 희비가 엇갈리는 배경이다.
경제 외적인 정치적 함의도 있다. 코스피는 이재명 정부 출범 전후부터 근 1천 포인트 상승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 코스피 5천을 공약했다. 한국 주식의 밸류업(Value up)을 주창했다. 배당을 많이 하는 기업에 세제혜택을 주겠다고 했고, 상법 개정을 통해 기업 오너(Owner)가 아닌 일반주주의 이익에 대해서도 '이사의 충실의무' 를 명시하면서 개인투자자가 종전보다 유리한 위치에 오르도록 했다. 당연히 주식시장에는 호재다. 이 대통령의 대선 승리에 주식시장 정책이 기여한 바 분명 있다.이 지점에서 반추되는 부분은 야당인 국민의힘도 국내 주식시장을 놓고 보다 섬세한 정책 발굴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한국경제는 고속성장속에 초일류 기업을 배출함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상응한 시장가격을 획득하지 못해 왔다.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이다. 그런 고질적 문제를 해소한다는 측면에서 작금의 주식시장 활황은 환영할만한 일이다. 동시에 급상승은 늘 급락의 후유증이 따른다는 점도 투자자들은 명심해야 한다. 정부 정책방향과 세계경제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살피면서 국내 자본시장의 국부창출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아무리 좋은 정책과 경제환경이 전제된다 해도 투자는 결국 나의 책임이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상]경주를 물든인 K컬처 특별전… 신라의 향기, 현대 예술로 피어나다](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0/news-m.v1.20251030.7e91dc3aa1ea4a549200e54e6832984b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