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예술·상권문화로 가득찬 구미시 원평동 문화로(文化路)

  • 백종현
  • |
  • 입력 2025-11-02 18:01  |  발행일 2025-11-02

도심 재생의 새로운 모델로 떠올라

빈 점포를 예술관·스토어로 바꿔 생동감 불어넣어

사흘간 방문객 3만명 이상 북적북적

문화로 빈 점포에서 운영한 낭만미술관을 찾은 관광객을 지역 작가 작품을 구매하고 있다.<구미시 제공>

문화로 빈 점포에서 운영한 낭만미술관을 찾은 관광객을 지역 작가 작품을 구매하고 있다.<구미시 제공>

구미시 원평동 문화로에서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열린 '2025 구미문화로 페스티벌(영남일보 2025년 10월 30일자 12면 보도)' 에 3만명이 넘는 시민·관광객이 찾아와 원도심 상권회복 가능성을 확인했다.


'오랜 경기침체 휴유증으로 발생한 빈 점포를 예술공간으로 바꿔 보자'는 작은 아이디어로 시작한 '낭만미술관'에는 지역 작가의 다양한 작품을 전시·판매해 방문객의 발길을 붙잡았다.


이곳 '청년창업 팝업스토어'에는 청년사업가 4개팀이 무료나 다름없는 임대료를 바탕으로 먹거리, 전통과자, 액세서리 등 개성 있는 상품을 선보여 호평을 받았다.


구미문화로 3개 테마구간(마켓로드·펀펀로드·푸드로드)에서 운영한 '마켓로드'에는 프리마켓 20팀, '펀펀로드'에서는 구미대와 협업으로 운영한 뷰티 체험존, 푸드트럭 10대가 참여한 '푸드로드'에서는 호떡, 수제맥주 등 다양한 먹거리를 선보여 축제 분위기를 한층 달궜다.


가족 단위 방문객 중심의 '원데이 팝업 클래스'는 오일파스텔, 아크릴화 체험이 인기몰이를 했고, 마임 퍼포먼스존, 360도 포토존, 낭만토미존 등 이벤트존도 곳곳에서 열려 관람객의 발길을 멈추게 했다.


한편, 구미시는 문화로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자율상권구역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시장경제 생태계 구축과 문화·일자리·경제를 연계한 상권활성화 모델 구축에 나설 방침이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문화로 페스티벌이 침체한 원도심 상권 회복 가능성을 보여줬다. 라면 축제, K-온누리패스와 연계한 아이디어를 발굴해 구미역 앞 문화로를 '낭만이 넘치는 새로운 거리'로 조성할 것"이라고 했다.



기자 이미지

백종현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