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국립경주박물관 천년미소관에서 '2025 APEC 정상회의'와 관련된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역의 미래 100년 먹거리를 책임질 '포스트 APEC 사업 과제 추진을 공식화 했다. 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디지털 랜드마크인 'APEC 퓨처 스퀘어' 조성 등을 통해 지역을 글로벌 협력의 거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또 경주포럼과 APEC 개최도시 연합 협의체 구축해 K-문화 중심의 외교 브랜딩을 실현해 나가기로 했다.
이 도지사는 5일 국립경주박물관 '천년 미소관'에서 열린 '2025 APEC 정상회의 성과보고회'를 통해 이번 회의 준비 과정과 이뤄낸 결과를 설명하고, 경북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먼저 "당초 이곳(천년 미소관)은 정상회의 만찬장으로 활용하려다 규모 문제로 계획이 틀어졌지만 한·미, 한·중 양자 정상회담이 이뤄지면서 오히려 더 빛이 났게 됐다"며 "특히 국빈 방문한 정상이 지방에서 회담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기록에 남을 역사적인 순간이었다"고 했다.
이어 "아름다운 경주와 월드클래스급 컨벤션시설, 숙박단지, 야간조명 및 레이져 쇼 등은 국내 최초 관광단지인 보문단지를 국제회의 지구로 도약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경주의 먹거리, 놀거리, 즐길거리로 세계인들의 눈과 입을 사로잡은 만큼 경주가 글로벌 10대 관광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포스트 APEC 사업의 가치에 대해서도 역설했다. 그는 "정상회의가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도정 발전의 모멘텀으로 활용하기 위해선 포스트 APEC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3대 분야 10개의 포스트 APEC 사업과제를 선정하고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경북도가 추진하는 포스트 APEC은 크게 경제 유산, 문화 유산, 평화 유산 분야로 진행된다. 각 분야별 세부 추진과제를 통해 경북도는 미래 신산업 생태계로의 대전환을 선도하고 K-컬처의 중심으로 거듭날 심산이다.
APEC 정상회의로 인한 경제적 성과에 대해선 "국가적으론 90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고, 경북도 역시 행사를 전후해 3조 8천억 원의 투자를 이끌어내며 '세일즈 경북, 세일즈 대한민국'의 목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며 "경북도 입장에선 글로벌 경제인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세계로 나아가는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5일 국립경주박물관 천년미소관에서 열린 '2025APEC 정상회의 성과보고회'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박종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상] 월정교 위 수놓은 한복의 향연··· 신라 왕복부터 AI 한복까지](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0/news-m.v1.20251031.6f8bf5a4fea9457483eb7a759d3496d2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