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 진입 20여년...현주소와 과제] "나는 한국인으로 살고 싶다" 차별에 눈물 짓는 '또 다른 한국인'

  • 양승진
  • |
  • 입력 2021-07-18 20:20  |  수정 2021-07-23 15:02  |  발행일 2021-07-19
다문화 수용성 지수 2012년 이후 제자리걸음

 

다문화.jpg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우리 사회의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2012년 이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역대학 봉사자가 다문화가정 아이와 자수를 놓고 있는 모습. 영남일보DB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등이 시작되면서 한국 사회가 본격적인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지 20여년이 지났다. 하지만 여전히 이들에 대한 차별·편견적 시선은 여전해 진정한 '다문화 사회'로 나가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성가족부가 발표하는 다문화수용성 지수에 따르면, 가장 최근 조사인 2018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 지수는 52.81점이다. 3년 단위로 한번 이뤄지는 이 조사는 2012년 첫 조사에서 51.17점을 기록한 이후 2015년 53.95점 등 제자리걸음만 반복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 10가구 중 3가구는 차별받은 경험이 있다고 호소한 조사결과도 있다.


경북 23개 시·군에서는 연간 1만5천여명 수준으로 결혼이민자가 늘고 있다. 도내 다문화 가구원 수는 5만2천여가구로, 다문화 2세대의 수는 1만4천여명으로 집계된다. 다문화 2세대가 어느덧 성년이 되면서 이들이 사회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결혼 이민자를 사회적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필요하다. 코로나19 직전 정부와 각 지자체가 앞다퉈 진출을 시도했던 신남방국가(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출신들이 많은 만큼 이들이 국내 지자체·기업 등의 시장 개척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 이를 위해선 결혼 이민자를 위한 일자리 마련·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이 필요하다.


강미영 의성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소장은 "최근 들어 각 지자체에서 결혼 이민자 대학등록금 지원·양질 일자리 지원책 등을 앞다퉈 실시하고 있다"며 "지난 20년 간 결혼 이민자·가정 등에 대한 인식 수준은 낮다. 이들을 지원의 대상이 아닌 사회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양승진기자 promotion7@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양승진 기자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