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가 '농산물 산지유통'을 확 바꾸기 위해 도입하는 AI·로봇기술 접목 '스마트 APC(산지유통센터)' 시스템. <경북도 제공> |
경북도가 산지유통시설을 '스마트 APC'(Agriculture Products Processing Center-산지유통센터)로 구축, 시설 첨단화는 물론 품목별 마케팅조직 육성을 통해 산지유통을 디지털화 한다.
도는 2026년까지 총사업비 910억 원을 투입해 '스마트 APC' 22개소를 구축하고, APC정보지원시스템 전면 도입으로 데이터 기반 농산물 유통체제를 조성한다고 18일 밝혔다. 또 APC를 기반으로 품목별 농가를 조직화하고 마케팅조직과 연계해 농산물 산지 경쟁력을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스마트 APC는 로봇·센서·통신 등 첨단기술을 이용해 농산물의 입고-저장-선별-포장-출고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고, 데이터 축적과 디지털화 한 정보를 바탕으로 농장에서 소비지까지 전후방 산업과 연계하는 산지유통시설이다.
도는 앞으로 신축하는 모든 APC를 스마트 APC로 설치해 시설을 첨단화하고, 시·군의 품목별 대표 APC를 선정해 규모화된 물량 처리와 데이터 관리 등 주산지별 운영으로 산지 유통을 거점화한다는 방침이다. 총사업비 296억 원(국비 119억 원)을 투입해 내년까지 스마트 APC 11개 소를 우선 설치한다. 또 매년 도 자체 재원으로 노후화된 기존 APC에 AI(인공지능) 선별기, 로봇설비, 정보처리시스템 등을 지원해 산지유통시설을 거점화·첨단화할 계획이다.
도는 또 내년부터 도내 APC에 정보지원시스템을 전면 도입해 산지 유통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취급하고 관리자의 경험으로 운영하던 기존 APC 운영체제를 데이터기반 디지털 운영체제로 개편해 운영효율을 높이고 생산·유통 전후방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품목 중심으로 산지유통구조 개선에도 박차를 가한다. 도와 시·군은 올해부터 원예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농업여건, 생산기반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전략품목을 선택해 생산부문과 유통부문을 통합한 '원예산업발전 5개년(2023~2027년) 계획'을 수립했다. 주산지 위주로 전략 품목 생산자를 집중 육성하고 APC에서 상품화를 거쳐 부가가치를 높여 전문품목 취급 마케팅조직을 통해 유통업체로 판매하면서 농산물 유통단계를 축소하고, 유통비용을 줄여 농산물 가격경쟁력을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현재 농협연합사업단 형태로 운영되는 포항, 안동, 영주, 영천, 문경, 경산의 마케팅조직은 지역농협 등의 출자를 통해 내년까지 조합공동사업법인을 설립해 전문 마케팅조직으로 육성한다.
김주령 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스마트 팜 도입 등 생산분야에서 시작된 경북 농업대전환을 유통분야로 확대해 스마트 유통체계 구축으로 대한민국 산지유통을 선도하겠다"라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