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해 멸치 주요 먹이생물인 중국노벌레(왼쪽)와 작은곁노벌레.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
남해 연안에서 멸치의 알이 지난해보다 45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하 수과원)은 올 여름철 남해안의 멸치어장이 남해 동부해역을 중심으로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수과원에 따르면 여름철 멸치어장 형성을 가늠할 수 있는 봄철 남해 연안(고흥~거제)의 멸치자원 조사 결과, 지난 4월에 멸치알과 부화한 어린 멸치가 전년 대비 대폭 증가(멸치알 45배, 어린 멸치 18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4월의 남해 동부해역(남해~통영)에서 멸치가 산란하기 좋은 수온(14∼22℃)이 일찍 형성됐고, 멸치의 주 먹이생물인 요각류 양도 많아져 알을 낳기 위한 어미 멸치의 유입량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남해 동부해역에서 부화한 어린 멸치의 최적 성장 수온과 주 먹이생물인 요각류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7월부터는 3cm 이하 크기의 소형멸치 어장이 형성돼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준혁기자 jjh@yeongnam.com

전준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