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르신들이 경북도와 일선 시·군에서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는 '수요응답형 시골 버스'에서 내리고 있다. <경북도 제공> |
경북도가 2015년부터 버스 노선이 없는 산간 오지마을 등을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는 '수요응답형 시골버스'가 지역 주민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응답형 시골버스'는 시내버스나 농어촌버스 노선이 없는 오지마을과 버스노선이 있는 면(面) 소재지 지역을 연결하는 운행노선을 정해 병원 진료, 장보기, 농자재 구매, 기본 경제활동 등 이동이 필요한 주민들의 수요에 맞춰 운행하는 교통수단이다. 장날이나 주말에는 탄력적으로 운행 회수를 늘려 운행하고 있다.
현재 도내 4개 시·군(포항 죽장면, 경주 산내면, 칠곡 기산면, 울진 기성면) 25개 노선에 중·소형버스 9대를 배차해 하루 평균 61회 운행하고 있다.
특히 포항·경주지역 시골버스는 지역 사정에 밝은 마을주민 6명을 운전원으로 채용해 주민의 수요와 의견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지역 일자리까지 만드는 효과까지 얻고 있다.
운전원은 주민들과의 친분과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어르신들의 안부를 묻고 살피는 어르신 지킴이 역할을 수행하며, 거동이 불편한 주민을 위해 생필품 구매 대행과 배송 서비스까지 도맡아 하고 있다.
이용요금은 시·군의 여건에 따라 100원부터 1천300원이다.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 무료 환승도 가능해 어르신들의 교통카드 이용률도 높아지면서 탑승 소요 시간 감소 및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 한 해 시골버스 이용자는 6만172명이며, 경북도와 시·군에서는 6억6천800만 원(도비 2억 원, 시·군비 4억6천800만 원) 지원을 지원했다.
최영숙 경북도 경제산업국장은 "교통 접근성은 도민의 기본적인 권리이자 기초적인 복지"라며 "취약지역 주민의 이동권 보장과 교통복지를 위해 다양한 교통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