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농업기술원이 울릉공항 개항을 앞두고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해 품평회를 갖고 있다. <경북도농업기술원 제공> |
경북도가 2025년 울릉공항 개항에 맞춰 관광객 맞춤 특산가공품 개발에 나섰다. 도는 이를 통해 울릉도 관광객 100만 시대를 열겠다는 각오다.
경북도농업기술원은 울릉공항 시대를 앞두고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을 통해 공항 개항과 동시 100만 관광객 목표로 선제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도농업기술원은 울릉도 특산작물의 부가가치 향상과 관광수요 대응을 위해 2021년부터 울릉군농업기술센터, 산업체, 대학과 협업해 소비트렌드에 부합하는 다양한 가공제품 개발, 농산물 기능성 효과검증, 가공원료 소재화 등 특산가공품 상품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
경북도농업기술원이 자체 개발해 특허 출원한 건조나물 제조법으로 시연한 울릉도 산채나물. <경북도농업기술원 제공> |
우선, 울릉도 산채나물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건조 후에도 검은색이 아닌 녹색을 유지하고 불리는 과정 없이 바로 조리가 가능한 건조나물 제조법을 개발해 특허 출원하고 울릉도 업체에 기술을 이전했다.
도농업기술원은 울릉도 특산작물 소재를 활용한 웰니스 가공품 개발에도 나서 울릉도 특산작물의 건강 기능성 연구를 통해 물엉겅퀴의 숙취 해소, 섬쑥부쟁이의 항염증 효능을 밝혀 가공소재로 활용하고 있다.
향후 산나물 건조 시 유용성분 유출을 방지하는 기술과 연계해 숙취 해소용 간편 해장국 제품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 |
경북도농업기술원이 개발한 울릉도 특산가공 제품들. <경북도농업기술원 제공> |
또한 기존 명이나물 절임과 같은 울릉군 특산제품은 제조기술 표준화 및 제품의 고급화, 다양화 작업을 통해 상품성을 높이고, 농가맛집 제품 개발과 육성으로 특산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복안이다.
조영숙 경북도농업기술원장은 "울릉도 신공항 시대를 맞아 울릉도 농산물의 우수성을 밝히고, 차별화된 가공품 개발과 상품화가 필요하다"면서 "울릉도 특산작물을 활용한 가공 상품화 및 외식산업화로 관광객을 대비하고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