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항시 장기면 금곡리에 들어서는 '연어 스마트 양식 테스트베드' 조감도. <경북도 제공> |
노르웨이산 대서양 연어가 경북에서 양식된다.
경북도는 '연어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의 핵심인 테스트베드 조성을 위한 착공식을 7일 포항에서 갖고, 대서양 연어의 국내 양식 기반 조성에 착수했다.
착공식에는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와 이강덕 포항시장, 해양수산부 관계자뿐 아니라 노르웨이대사 참사관과 관계사 대표 등도 참석했다.
이번에 착공한 연어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테스트베드는 2020년 경북도와 포항시가 해양수산부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 사업' 공모에 선정돼 총사업비 400억 원 중 300억원을 투입해 포항시 장기면 금곡리 2만8천570㎡에 조성한다. 내년 준공 이후에는 100억 원을 더 투입해 연차적으로 배후 부지(19만5천570㎡)도 조성할 계획이다.
국내 식당과 마트 등에서 판매되는 연어 대부분은 노르웨이가 원산지인 대서양 연어다. 세계 연어 생산량 480만t 중 양식 연어는 300만t을 차지하며, 이 중 노르웨이에서 가장 많은 125만t이 생산되고 있다.
![]() |
대형마트 수산코너에서 직원이 연어회를 살펴보고 있다. <영남일보 DB> |
젊은 층을 중심으로 연어나 참치류의 소비가 빠르게 확대되면서, 연어 수입량은 10년 전 1만5천t에서 지난해 7만7천t으로 5배 이상 증가했다.
경북도에서는 변화하는 수산물 소비패턴을 반영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연어를 국내에서 생산하기 위해 공모를 통해 테스트베드를 운영할 민간 법인(미래아쿠아팜 주식회사)을 선정한 바 있다.
![]() |
노르웨이에서 잡힌 대서양 연어. 경북도 제공 |
또한 최근 고령화와 어업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순환 여과 시스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최첨단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양식 표본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며 테스트베드 완공 후에는 수산양식 창업자나 한국 해양 마이스터고교 학생들의 기술 전수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내년에 시설이 완공되면 연간 대서양 연어 1천t을 생산하게 되고, 2027년부터 배후 부지에 순수 민간투자 자금 2천억 원이 추가로 투자돼 시설이 완료되면 2033년까지 국내 수입량의 14%인 1만t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소비자와 시장이 원하는 품종의 지속적인 발굴과 수입대체 어종의 연구·개발은 물론, 국민 1인당 수산물 소비량 세계 1위인 우리나라의 수산업을 경북도가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