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에서 문 전 대통령 예방 후 자신의 차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4·10 총선의 룰인 비례대표제 선출 방식과 관련해 현행 '준연동형'을 유지키로 했다.
이 대표는 5일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정권심판과 역사의 전진에 동의하는 모든 세력과 함께 위성정당 반칙에 대응하면서 준연동제의 취지를 살리는 통합형비례정당을 준비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현행 준연동제에 대해 이 대표는 "불완전하지만 소중한 한걸음'"이라며 "과거 회귀가 아닌, 준연동제 안에서 승리의 길을 찾겠다"고 말했다. 그는 "깨어 행동하는 국민들께서 '멋지게 이기는 길'을 열어주시리라 믿겠다"고 덧붙였다.
이는 선거제 개편의 주도권을 쥔 이 대표가 사실상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를 선언한 것으로 선거제 논의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의 입장은 직전 방식처럼 소수정당들과 통합형 비례정당을 만들겠다는 방침으로 풀이된다.
이미 여당인 국민의힘은 위성정당 창당을 준비하는 등 대응에 나선 만큼 민주당의 위성정당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 대표는 이에 대해 거듭 사과의 뜻을 밝혀 눈길을 끌었다. 그는 "위성정당금지법을 거부한 여당은 이미 위성정당을 창당하며 총선승리를 탈취하려 한다"며 "안타깝지만, 여당의 위성정당을 막을 방법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반칙이 가능하도록 불완전한 입법을 한 것을 사과드린다. 약속드린 위성정당 금지 입법을 하지 못한 점을 사과드린다"며 "결국 준(準)위성정당을 창당하게 된 점을 사과드린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비례대표 배분 방식을 놓고 현행 준연동형 유지와 병립형 회귀를 두고 논란을 벌였다. 최근에는 전 당원 투표를 통합 결정도 논의됐지만, 지도부는 모든 결정을 이 대표에게 위임하기로 한 바 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