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곳 중 1곳은 벌이보다 지출이 큰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에 근로소득 감소까지 맞물린 탓이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였다. 1년 전(26.7%)과 비교하면 0.1%포인트 늘어난 규모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이다.
소득 분위별로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8.2%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2.2%포인트 증가했다. 직전 분기인 4분기(14.85)와 비교해선 3.4%포인트 늘었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로 나타났다. 중산층 가구 5곳 중 1곳 가까이가 소비 여력보다 씀씀이가 더 컸다는 의미다.
고소득에 해당하는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 역시 적자 가구 비율이 1년 전보다 0.5%포인트 증가한 9.4%로 나타났다. 2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9%포인트 증가한 28.9%를 기록했다.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0%포인트 감소해 60.3%로 개선됐다.
중산층과 고소득층 가구에 '적자 살림'이 증가한 건 고금리·고물가 장기화와 부진한 소득 증가 영향이 크다.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증가했지만, 소득이 늘지 못하면서 적자 폭이 확대된 것이다.
실제 올해 1분기 3분위·4분위 가구의 지출은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각각 5.4%,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의 증가율도 3분위가 3.8%, 4분위가 0.7%로 부진했다. 또 고소득 가구인 5분위에선 삼성과 LG 등 대기업의 상여금이 감소하면서 근로소득은 4.0% 감소했다.

이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