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불바다…안동·청송 전 주민 대피령(종합)

  • 박종진
  • |
  • 입력 2025-03-26  |  수정 2025-03-26 08:50  |  발행일 2025-03-26 제1면
의성 산불 초고속 확산…청송서 첫 사망자

경북 불바다…안동·청송 전 주민 대피령(종합)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나흘 만에 안동 일직면 야산까지 덮쳤다. 25일 오후 10㎞가량 떨어진 안동시청 옥상에서 바라본 일직면 야산의 불길은 당북동 자이 아파트를 삼킬 듯한 기세로 타오르고 있다. 피재윤기자

의성 산불이 경북 북부를 집어삼키고 있다. 몸집을 한껏 부풀린 화마는 강풍을 타고 안동·청송·영양·영덕까지 세력을 넓혔다. 따뜻하고 건조한 대기에 강한 바람이 불면서 불길은 북진과 북동진을 거듭하고 있다. 사상 처음으로 안동시·청송군 전역에 주민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경북 불바다…안동·청송 전 주민 대피령(종합)

청송에서는 첫 화재 사망자로 보이는 시신이 발견됐다. 25일 경찰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7시쯤 경북 청송군 청송읍 한 도로 외곽에서 A(65)씨가 불에 탄 상태로 행인에게 발견됐다. 경찰은 유족에 확인한 결과 A씨는 산불 대피 명령에 따라 자가용을 이용해 대피하던 중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발견 당시 A씨는 차에서 빠져나온 상태였다.

25일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 의성 안평면 괴산리 야산에서 시작된 산불은 나흘 만에 안동시 일직면·풍천면, 청송군 파천면·안덕면·청송읍·진보면, 영양군 석보면, 영덕군 지품면 등지로 초고속 확산했다. 오후 들어 남남서풍이 불면서 불길은 북동진을 거듭하고 있다. 예천마저 뚫리면 경북 북부권이 초토화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날 오후 7시 현재 의성 산불 진화율은 68% 수준이다. 오전 7시(55%) 이후 12시간 동안 13%포인트 끌어올리는 데 그쳤다. 전체 화선 길이는 279㎞에 달한다. 이 가운데 192㎞는 진화가 완료됐고, 나머지 87㎞에 대한 진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나흘만에 안동·청송·영덕 번져
예천까지 뚫리면 북부권 초토화
불티 10초에 1㎞ 이상 날아가



산불 영향구역은 1만5천185㏊(축구장 2만1천268개)로 추정된다. 피해 규모가 1만㏊가 넘는 역대급 재난 산불이다. 당국은 이날에만 헬기 77대와 인력 3천708명을 투입했지만 불길 확산을 막지 못하고 있다. 순간 풍속이 초속 10∼20m에 달하는 강한 바람이 불면서 '도깨비불'에도 비유되는 비화(飛火) 현상이 당국의 애를 끓이고 있는 것. 비화는 산불 불기둥으로 인해 상승한 불똥이 강한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현상이다. 나무 상단부로 불이 번지는 '수관화' 현상과 열기에 의해 공기를 빨아들이는'열기둥' 현상 뒤에 비화가 발생한다. 의성 산불현장에선 불티가 10초 내에 1㎞ 이상 날아가는 게 확인됐고, 상승 기류가 더해지면 2㎞ 이상 날아갈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오후 5시 이후부터는 바람이 초속 25m 이상으로 더욱 거세지면서 헬기 가동이 중단됐고, 진화 인력도 산에서 내려와 주요시설을 보호하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은 '풍전등화'의 위기를 맞았다. 하회리 마을주민에게는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천년 고찰인 의성 고운사는 이미 화마에 휩쓸렸고 만휴정·용담사·묵계서원 역시 피해를 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생태계 보고인 주왕산국립공원에도 산불이 옮아 붙었다. 철도·도로 통제 구간과 이재민 규모는 갈수록 늘어나는 중이다. 의성·안동·청송에 이어 예천·영양·영덕까지 주민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문제는 여전히 큰 불길을 잡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는 27일 새벽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예상 강수량(5㎜)이 적어 진화 작업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종진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