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타결]포항 철강 위기 고조…2차전지 주시

  • 김기태
  • |
  • 입력 2025-08-01 15:35  |  수정 2025-08-01 15:36  |  발행일 2025-08-01
철강 50% 관세, 수출 봉쇄 현실화
포스코·현대제철, 고강도 대응 나서
중소 강관업체, 생존 압박 심화
2차전지 관세 불확실성 지속
산업용 전기료 인하 등 대안 시급
포항철강산업단지 전경<포항철강관리공단 제공>

포항철강산업단지 전경<포항철강관리공단 제공>

에코프로 포항캠퍼스 전경<에코프로 제공>

에코프로 포항캠퍼스 전경<에코프로 제공>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이 타결되며 상호관세는 15%로 낮아졌지만, 철강 분야는 기존 50% 관세가 그대로 유지돼 포항 철강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2차전지 분야는 관세율이 명확히 발표되지 않은 가운데 에코프로 등 지역 기업은 미묘한 긴장 속에 대응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31일 타결된 한미 무역협상에서 자동차와 상호관세는 완화됐지만 철강 분야에 대한 미국의 50% 고율 관세는 그대로 유지됐다.


이에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포항지역 철강 기업들은 미국 수출 봉쇄에 준하는 현실을 마주하게 됐다. 업계는 "지난 3월 25% 인상도 간신히 버틴 수준"이라며 "50% 관세 부과 이후 미국 시장은 철수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미국이 지난 6월 4일부터 철강 제품 50% 관세 적용으로 인해 포스코의 대미 수출은 급감했다. 특히 포항 강관업체들은 전체 수출의 40% 이상이 미국향이었던 만큼, 치명적이란 지적이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은 관세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긴밀히 협의 중이다. 포스코는 현대차그룹과 함께 미국 내 제철소 건립을 포함한 협력 계획을 수립 중이다. 현대제철도 약 8조5천억 원 규모의 미국 현지 투자를 추진 중이다. 그러나 제철소 가동이 예정된 2029년은 트럼프 임기 마지막 해로, 그 이전까지는 고관세 구조 속에서 수출 경쟁을 벌여야 한다. 이로 인해 당분간 수출 손실과 수익성 저하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포항의 넥스틸, 세아제강지주 등 중소 강관업체들은 미국향 수출 의존도가 높아 직격탄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이들은 자금력, 인허가, 물류망 등의 현실적 한계로 현지 공장 설립이란 대기업의 '미국현지화 전략'을 모방하기도 어렵다. 일각에선 "수출 대체 시장도 뚜렷하지 않아 감산과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위기감도 고조되고 있다. 철강 수출이 감소할 경우 지역 내 협력업체, 물류, 서비스업까지 연쇄 타격이 우려된다.


2차전지 소재 산업은 관세율이 공식 발표되지 않았지만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포항에 공장을 둔 에코프로는 직접적인 미국 수출 물량은 없지만, SK온과 삼성SDI 등 배터리 완성사에 공급 제품이 간접적으로 대미 수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만약 완성품 단계에서 관세가 부과된다면 납품업체인 에코프로에도 간접적인 타격이 발생할 수 있다. 에코프로 관계자는 "현재 배터리 완성사의 부진으로 2차전지 소재 기업들도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다. 향후 세부 품목에 대한 관세 구조가 확정되면 영향 분석과 대응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철강 관세 충격을 계기로 '미국 의존형 수출 구조'를 탈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동남아, 중동, 유럽 등 신흥 시장 개척과 더불어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수출 전략 전환이 시급하다. 동시에 산업 전반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반 공급망 대응력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철강·2차전지 산업 현장에서는 정부 차원의 직접적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산업용 전기요금 인하, 탄소감축 설비 도입 지원, 수출 판로 개척 등을 포괄하는 '철강·2차전지 산업 특별지원법' 제정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법안은 고율 관세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 국내 철강·배터리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제도적 기반이다. 철강산업의 경우 최근 국회 차원에서 논의가 진행 중이다.


포항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철강산업이 무너지면 지역경제 전체가 타격을 입는다"며 "특별법 제정과 같은 국가적 대응이 없다면 중소기업부터 무너지는 연쇄 위기가 현실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자 이미지

김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