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 기업 숨통 트였다”…안동發 제안, 경북 고용유지지원 사업으로 결실

  • 피재윤
  • |
  • 입력 2025-09-08 16:11  |  발행일 2025-09-08
박찬일 주무관

박찬일 주무관

경북 안동시청 공무원의 제안에서 출발한 '재난특별지역 고용유지지원 사업'이 경북 지역 산불 피해 기업들의 고용을 지켜내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안동시는 77개 기업, 192명이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며 경북 전체(산불피해 기업)의 60.1%를 차지했다. 현장 기업들은 "문을 닫을 위기에서 숨통이 트였다"며 반색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안동시청 신성장산업과 박찬일 주무관의 제안에서 비롯됐다. 지난 3월 경북 북부를 휩쓴 대형 산불은 생산설비와 재고 소실, 관광객 급감 등으로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벼랑 끝으로 내몰았다.


박 주무관은 "기업이 사람을 잃으면 회복도 불가능하다"며 고용유지 지원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 안이 경북도를 거쳐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되면서 현실화됐다.


사업은 산불 피해 기업 가운데 상시근로자 50% 이상을 유지하는 곳을 우선 지원한다. 1순위는 생산설비와 재고 소실 등 직접 피해 기업, 2순위는 관광객 감소·공급망 차단 등 간접 피해 기업, 3순위는 재난 지역 내 기업이다.


안동시는 신청기업 109곳, 신청인원 777명 중 77개사 192명을 선정했다. 총지원액은 25억 9천770만 원이며, 근로자 1인당 최대 200만 원씩 최장 7개월간 지원된다.


지원이 확정되자 피해 기업들은 반색했다. 한 제조업체 대표는 "설비를 잃고 주문까지 끊겨 직원 월급 줄 길이 막막했는데 이번 지원 덕분에 고용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관광업을 운영하는 소상공인들도 "손님이 끊겨 문 닫을 위기였지만 직원들과 함께 버틸 희망이 생겼다"고 했다.


이번 성과는 단기적 구호를 넘어 장기적 경제 회복의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기업이 근로자를 지켜낸 덕분에 지역 내 소비와 투자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 것이다.


박 주무관은 "피해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을 뿐"이라며 공을 돌렸다. 그는 "재난은 언제든 닥칠 수 있지만, 그때마다 행정은 시민 곁에 있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기업과 노동자가 함께 버틸 수 있는 정책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기자 이미지

피재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