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금단의 땅’ 열린다…옛 대구교도소, 11월부터 단계적 개방

  • 이승엽
  • |
  • 입력 2025-09-08 17:35  |  발행일 2025-09-08
기재부·LH·대구시·달성군, 후적지 개발협의 완료…내년 1월 MOU
후적지 절반 달성군 문화복합시설 건립
민간 분양 및 청년 공공임대주택도 들어서
2029년쯤 분양 시작, 도시숲 올 11월부터 개방
대구교도소 후적지 개발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은 대구교도소 정문 앞. <영남일보DB>

대구교도소 후적지 개발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은 대구교도소 정문 앞. <영남일보DB>

반세기 넘게 '금단의 땅'이었던 옛 대구교도소(대구 달성군 화원읍)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민의 품에 돌아온다. 오는 11월 도시숲 준공을 시작으로 각종 개발사업이 본궤도에 올라 2029년쯤에는 화원읍 일대가 '천지개벽'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면에 관련기사


8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기획재정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대구시, 달성군은 3차례에 걸친 실무협의체 회의 끝에 옛 대구교도소 후적지(10만5천㎡) 개발 방향에 대한 협의를 완료했다. 이들은 내년 1월쯤 협의 내용을 문서화 해 4자 업무협약을 맺을 예정이다.


1971년 조성된 대구교도소는 반세기 넘게 일반 시민의 발걸음을 허용하지 않은 폐쇄적인 공간이다. 도보 10분 거리에 도시철도 1호선 화원역이 있음에도, 교도소 존재는 일대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었다. 더욱이 2023년 11월 대구교도소가 달성군 하빈면으로 이전한 이후 후적지 및 주변 지역의 슬럼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해당 공간 활용이 지역민들의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대구시는 지난해 9월 이곳을 청년미래희망타운으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부지 소유주인 기재부가 후적지 통매각 불가 방침을 내놓으면서 개발 사업도 난관에 부딪혔다. 이에 시는 올해 4월 기재부, LH, 달성군과 4자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연내 신속한 개발 방향 수립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그 결과, 지난 7월 말 기재부·LH로부터 사업 추진 방향 등 큰 틀의 실무협의 완료 통보를 받아냈다.


4자가 합의한 협의안(토지이용계획)을 보면 기재부는 LH에 후적지 개발을 위탁하고, 개발이익을 받는다. 사업시행자 LH는 토지를 개발 후 민간과 달성군에 분양한다. 달성군은 LH로부터 후적지 절반가량(5만1천258㎡)을 분양받아 문화복합시설을 건립할 계획이다. 또 일부 부지는 장기대부 형태로 청년임대주택 건립에 나선다. 대구시는 달성군과 함께 용도변경 등 도시관리계획 협의를 진행하게 된다.


후적지 개발사업은 내년 상반기 중 사업승인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어 관련 절차를 밟은 후 이르면 2029년쯤 본격적인 분양이 시작될 전망이다.


한편, 후적지 바깥쪽의 주차시설과 녹지공간은 우선적으로 개방된다. 현재 달성군은 1만8천400㎡ 규모 교도소 유휴부지를 도시숲으로 조성 중이다. 주차장 204면, 945m 마사토 산책로 등으로 구성된 도시숲은 오는 11월부터 시민을 맞을 예정이다.


대구시 장은석 도시공간개발과장은 "중앙-지방 협력으로 큰 틀에서 합의를 이뤄내고 본격 사업화 단계에 진입했다"며 "늦은 만큼 후적지 개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자 이미지

이승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