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2차전지 기술력 ‘배터리 코리아 2025’에서 빛나

  • 이동현(경제)
  • |
  • 입력 2025-09-22 18:05  |  발행일 2025-09-22
전기차 시장 둔화, 2차전지 산업 위기 맞서
TK지역 산·학·연 협력…미래 전략 논의
22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배터리 코리아 2025에서 김철훈 부명 대표가 EV 배터리 팩에서 셀 단위 모니터링의 중요성 : 무선 BMS와 버스바를 이용한 μ-BMS 데이터 통신 기술 소개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배터리 코리아 제공>

22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배터리 코리아 2025'에서 김철훈 부명 대표가 'EV 배터리 팩에서 셀 단위 모니터링의 중요성 : 무선 BMS와 버스바를 이용한 μ-BMS 데이터 통신 기술 소개'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배터리 코리아 제공>

전기차 수요 둔화로 '캐즘(Chasm·일시적 수요 둔화)'에 빠진 2차전지 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대구경북지역 산·학·연이 손을 맞잡고 국내 최대 배터리 전문 컨퍼런스인 '배터리 코리아(BATTERY KOREA) 2025'에 출격했다. 지역 핵심 기관들이 국내 최대 배터리 전문 컨퍼런스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차세대 기술력을 선보이고 미래 전략을 공유하며 새로운 돌파구 마련에 나선 모습이다.


22일 서울 코엑스에서 막을 올린 배터리 코리아 2025는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시장 침체 속에서 K-배터리의 활로를 찾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대구기계부품연구원(DMI)과 경북테크노파크(경북TP)가 공동주관사로 이름을 올리며 지역의 높은 위상을 보여줬다.


대구경북의 배터리 기술력을 알리는 계기도 됐다. 한세경 경북대 교수(전기공학과)는 기조강연 연사로 나서 '데이터 기반 배터리 조기 이상감지 기술'을 소개해 참석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기술은 배터리 안전성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지역의 우수한 연구개발(R&D) 역량을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iM증권 정원석 연구원이 올해와 내년 글로벌 2차전지 이슈를 짚어보고 전망을 내놓으며 시장 선정을 위한 기업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박재범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글로벌 배터리 소재 시장 동향과 K-배터리 경쟁력 강화 방안 발표를 위해 연단에 올랐다.


행사장에 마련된 데모 부스 전시에서도 지역 기관들의 활약이 돋보였다. 경북TP는 부스를 통해 2차전지 특구의 향후 사업 전략을 소개하고, 지역 기업들의 배터리 소재·부품·장비 기술력을 선보였다.


이번 행사는 사전등록 인원만 8천명에 달할 정도로 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총 22개의 전문가 강연을 통해 배터리 시장 전망과 신기술, 투자 전략 등이 심도 깊게 다뤄졌다.



기자 이미지

이동현(경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