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타워] 지역을 기반으로 문화강국을 꿈꾼다

  • 마창훈
  • |
  • 입력 2025-10-10 11:07  |  발행일 2025-10-10
마창훈

마창훈

"순수한 지역의 이야기를 온전히 지역이 가진 역량으로 풀어낸다."


영남일보 부설 기관인 한국스토리텔링연구원이 주관하는 '산수실경 뮤지컬 왕의나라' 세 번째 이야기 '나는 독립군이다'가 지난 16일 안동시민의 뜨거운 호응 속에 막을 내렸다.


이 작품은 광복 8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지난해 제작해 초연에서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1894년 갑오의병을 시작으로 광복을 맞이한 1945년까지 51년간의 격변기 속에 안동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활약과 이 과정에서 감내해야 했던 그들의 삶을 노래한 뮤지컬이다.


암울했던 시대에 '대한독립'을 일념으로 살았던 안동인. 일제의 서슬 퍼런 총칼에도 굴하지 않고 당당히 맞선 권세연, 이만도, 이상룡, 김동삼, 류인식, 김용환, 김락, 남자현, 이육사 등과 이름 없는 '안동의 영웅들'이 이루고자 했던 꿈과 그들의 이야기를 그려냈다. 특히 선비의 고장이자 양반의 도시, 그리고 한국 정신문화 수도인 안동의 정신적 뿌리이자 든든한 버팀목인 유림의 삶과 저항 정신, 그리고 독립운동의 발상지이자 성지로서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안동인(安東人)'의 올곧은 정신을 재조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처럼 세 번째 이야기로 관객을 맞이하는 뮤지컬 왕의나라가 안동을 대표하는 콘텐츠 중 하나로 기반을 다질 수 있었던 원동력은 따로 있다. 그 힘은 지역의 숨은 문화적 역량을 발굴하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응원이었다. 가장 먼저 지역 문화산업의 부흥을 위해 한목소리를 내며 지원을 아끼지 않은 경북도와 안동시, 그리고 이 같은 든든한 후원을 기반으로 지역에서 생산된 문화 콘텐츠가 지역을 넘어 전국 각지로 진출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가는 전령 역할을 자임한 영남일보의 노력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실제 지역 문화산업의 부흥을 꿈꾸며 협업에 나선 경북도와 안동시, 그리고 영남일보의 노력은 15년 전인 201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안동민속촌 성곽 야외 특설무대에서 첫 막을 올린 그해 8월, 당시 왕의나라는 산수실경 뮤지컬의 지평을 새롭게 연 것으로 주목받았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안동 몽진(蒙塵), 홍언박과 여랑의 애틋한 사랑, 그리고 안어대동(安於大東) 민중의 삶을 조명한 첫 번째 이야기로 흥행대박을 터트렸다.


이어 2017년에는 두 번째 이야기 '삼태사(三太師)'를 무대에 올렸다. 태조 왕건이 고창(안동의 옛 지명)의 성주와 호족이었던 김선평, 권행, 장정필, 그리고 '안동인(安東人)들'의 헌신적인 지원을 얻어, 병산전투에서 후백제의 왕 견훤을 물리치고 고려를 건국하는 기반을 다진 대서사를 노래한 창작 뮤지컬이다.


이 작품은 지역 문화예술인과 일반 시민 등을 대상으로 한 무대 공간 개방에 초점을 맞췄다. 물론, 국내 뮤지컬 계에서 손에 꼽히는 전문 배우와 안동을 비롯한 인근 지역 출신 배우 등이 함께 호흡을 맞추는 등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도 병행했다. 또 90분간 펼쳐지는 무대 위에는 관람객의 흥미를 유발하는 장치와 볼거리를 곳곳에 설정해 관객들의 시선을 압도했다. 지역에서 최초로 스토리 전개에 맞게 '3D 비디오맵핑 기법'을 도입한 콘텐츠를 제작해 극적 효과를 높인 것이 그 예다.


이처럼 왕의나라는 경북도와 안동시의 꾸준한 지원, 그리고 영남일보 부설 기관인 한국스토리텔링연구원의 끊임없는 도전 정신이 하나로 어우러진 긴 여정 속에 안동인이 사랑하는 안동의 대표 브랜드 중 하나로 성장과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마창훈 / 경북본사 부장



기자 이미지

마창훈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문화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