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읍천항에서 바라본 월성원전. 영남일보DB
고리 2호기가 13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계속운전 승인을 받으면서 남아 있는 노후 원전 9기 중 경북 원전(5기)이 앞으로 어떤 결정을 맞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가 실용적 에너지 믹스를 내세우며 기존 원전 활용 가능성을 열어둔 만큼, 월성·한울 원전의 연장 여부는 향후 에너지 정책의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현재 국내 가동 원전 26기 가운데 노후 원전 10기가 계속운전을 신청했고 이번 고리 2호기 결정은 그중 첫 승인이다. 원전 업계는 "이제부터가 본격적인 심사 국면"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경북에는 경주 양남면 월성 2·3·4호기와 울진군 북면 한울 1·2호기 등 심사 대상 5기가 몰려 있다.
설계수명 만료 시점을 보면 월성 2호기는 2026년 11월, 월성 3호기는 2027년 12월, 월성 4호기는 2029년 2월에 운영허가가 끝난다. 한울 1·2호기도 각각 2027년 12월, 2028년 12월이 만료다. 다만 원안위가 국감에서 한울 1·2호기(2027년 상반기), 월성 2·3·4호기(2027년 하반기) 심사 완료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 일정대로라면 한울 1·2호기와 월성 3·4호기는 설계수명 만료 전에 허가가 날 가능성도 있다.
정부의 원전 정책 기조도 변수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신규 원전 건설의 현실적 제약을 언급하면서도 기존 원전은 "안전성이 담보된다면 합리적 에너지 믹스 차원에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신규 대형 원전 2기 건설과 SMR 도입 논의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단기 전력 수급은 기존 원전의 계속운전에 더욱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경북 원전의 계속운전 여부는 지역적 차원을 넘어 국가 전력계통과 산업계의 핵심 이슈로 떠오늘 가능성이 크다. 월성 2·3·4호기(2.1GW)와 한울 1·2호기(1.9GW)는 합산 4GW 규모로 국내 전체 원전 설비용량의 약 15%를 담당하는 핵심 발전 축으로 운전 연장 여부가 전국 전력망 안정성과 직결된다. 월성 원전은 중수로 특성상 안전성 검증을 둘러싼 논란이 반복돼 왔고 한울 원전은 대규모 공급원으로 산업용 전력 수요와도 밀접하다. 고리2호기 심사에서 다뤄진 지진 기준 상향, 냉각계통 보강, 노후 설비 교체 등 주요 쟁점은 향후 경북 원전에도 동일 기준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장성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TK큐]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장애인 이동권은 어디까지 왔나](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1/news-m.v1.20251128.d24ad28e5cae4d2788a23ae2d86f4b82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