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경부선 철도 대구도심 지하화 '난항'...용역 결과 "경제성 충분치 않다"

  • 오주석
  • |
  • 입력 2022-11-04  |  수정 2022-12-14 15:34  |  발행일 2022-11-04 제6면
2022110401000139000005031
대구도심구간 지하화가 추진되고 있는 경부선 철도 대구역 구간.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 사업 중 하나인 '경부선 고속철도 대구도심 구간 지하화'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다음 달 종료되는 '경부선 대구도심구간 지하화 및 후적지 개발 용역'에서 경제성이 충분치 않다는 분석이 나왔기 때문이다.

3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열린 경부선 대구도심구간 지하화 및 후적지 개발 용역 중간 보고회에서 경부선 지하화의 사업성이 낮다는 분석 결과를 전달 받았다. 이 사업은 대구 서구부터 수성구까지 연결된 14㎞ 구간의 경부선과 KTX가 지나는 경부고속철도를 통합 지하화 하는 것으로, 그동안 대구 도심 생활권의 남·북 단절과 양분화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꾸준히 제기돼 왔다.

대구시는 경부선 철도 도심구간 지하화 추진을 위해 국가철도공단과 경부선 도심 지하화 용역(예산 20억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6월부터 올해 12월까지 관련 용역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용역 중간 보고회에서 좋지 않은 결과가 나오면서 사업 추진에 비상이 걸렸다. 부산 역시 지난해 경부선 지하화 용역에서 비용대비편익(B/C) 값이 0.59로 나오면서 사업 추진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에 대구시는 올해 말까지 계획된 경부선 대구도심 구간 지하화 용역 기간을 내년 상반기까지 늘려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고시에 경부선 지하화 사업이 반영될 수 있도록 매진 한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난항을 겪고 있는 경부선 대구도심구간 지하화를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선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다"며 "타 지자체와 협력해 경부선 지하화 사업이 국가지원사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구도심 경부선 철도 지하화 논의는 2011년 7월 조원진 전 국회의원(당시 한나라당 소속)이 '경부선(무궁화호 등)+경부고속철도' 모두를 지하화 하자고 제안하면서 재점화 됐다. 앞서 대구시는 KTX 고속열차 도입과 함께 기존 경부선의 지하·지상화를 함께 논의하다가 2006년에 지상화 추진을 결정했다. 이후 약 1조3천억원을 투입해 KTX 본선 개설 공사와 철로변 주변 정비 사업에 활용한 바 있다.

수면 아래로 가라 앉았던 경부선 철도 대구도심 지하화 사업이 재점화 된 것은 2016년 총선 때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대구시당이 공약으로 내놓으면서다. 이후 대구시가 1억8천만원을 들여 대구경북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하면서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이 다시 논의되기 시작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