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구지역 일부 새마을금고 지난해 이미 연체율 10% 넘어

  • 이지영
  • |
  • 입력 2023-07-18 18:47  |  수정 2023-07-19 06:48  |  발행일 2023-07-19
연체율, 고정이하여신비율 등 건전성지표 악화

지난해 대구 PF 대출 3조3천억, 연체율 8.21%

“건전성 확보 위해 근본적인 문제 해결해야”
clip20230718184614

대구에서 연체율이 10%를 넘는 새마을금고가 2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새마을금고 부실 논란과 관련, 통폐합이 가능한 정부의 특별검사 대상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연체율 6%를 넘는 금고도 작년보다 무려 5배 증가한 10곳인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 소비자들의 불안 심리를 해소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8일 영남일보 취재진이 MG새마을금고 홈페이지 공개된 대구지역 101개 새마을금고의 정기공시내용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이 6%를 넘는 새마을금고는 총 10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남구·서구·달성군 각 1곳, 동구 2곳, 달서구 5곳이었다. 이는 2021년 2곳보다 5배 증가한 규모다. 통상 금융권에서 연체율이 5%를 넘으면 재정 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온 것으로 본다.

특히 연체율이 10%를 넘는 새마을금고가 2곳이었다. 달서구 A지점은 연체율이 11.91%로 전년(4.22%)보다 무려 7.69%포인트나 올랐다. 동구 B지점도 10.81%로 전년(4.56%) 대비 4.56%포인트 늘었다. 정부는 연체율이 10% 이상인 금고는 특별검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대구지역 새마을금고 평균 연체율은 2.88%로 전국 평균 연체율(3.59%)보다 0.71%포인트 낮았다. 그러나 지역 금고의 30% 이상이 전국 평균 연체율보다 높았다.

연체율이 올라가면서 금고들의 재정 건전성 지표도 악화됐다. 연체율이 6%가 넘는 금고 10곳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4.11%로 전년(2.23%) 대비 1.88%포인트 올랐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달성군 C지점이 10.79%로 가장 높았으며, 동구 B지점이 8.84%로 뒤를 이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 합계액이 전체 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수치가 높을수록 부실 자산이 많다는 의미다.

경영개선조치(권고)의 기준이 되는 순자본비율이 4%대 미만인 금고도 16곳에 달했다. 달서구와 수성구에서 각 1곳, 중구와 남구 각 2곳, 북구와 달성군 각 3곳, 동구 4곳이었다. 이들 금고 중 중구 D지점이 2.7%로 가장 낮았으며, 동구 E지점(3.32%), F지점(3.36%), 북구 G지점(4.02%) 순이었다.

대구지역 절반 이상의 금고가 긴박한 순간 가용할 수 있는 자산이 부족했다. 지역 금고 54곳이 만기 3개월 이하 유동부채 대비 유동자산 보유를 나타내는 유동성 비율이 100% 미만이었다. 이 중 서구 H지점(40.10%), 중구 I지점(42.8%), 동구 J지점(44.77%)은 가용할 자산이 50%에도 미치지 못했다.

반면, 유동성 비율이 200% 이상으로 자산이 비교적 탄탄한 금고는 10곳이었다. 달성군 K지점의 경우 무려 1천%가 넘는 유동성 비율을 보였다.

지역 새마을금고의 각종 지표들이 악화된 것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때문이다. 지난해 연체율이 높은 금고들을 중심으로 PF 대출을 늘렸는데, 부동산경기 침체로 빌려준 돈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연체율이 급증했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구지역 새마을금고 건설·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총 3조3천억원, 평균 연체율은 8.21%였다.

실제로 지난해 대구의 한 오피스텔에 금고 20곳이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출자했다. 해당 오피스텔은 입지 조건이 뛰어나 사업 수지분석에서 높은 수익을 낼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미분양이 급증하는 등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아 분양 시점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새마을금고 중앙회는 PF 대출 관련 긴급 점검에 나섰다. 금고별 PF 대출 및 연체 현황 분양률, 공정률 등에 대해 전수조사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3일에는 새마을금고의 관리·감독을 현 행정안전부에서 금융위원회로 넘기는 내용의 '새마을금고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금융위가 새마을금고의 신용·공제사업을 직접 감독하고 금융감독원이 검사하게 된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경기 침체 등으로 경영 상황이 악화해 기업 대출 연체율이 높아졌다"면서 "올 상반기 새마을금고별 연체율 자료는 다음 달 말에 공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지영기자 4to11@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지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