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만규 대구시의회 의장 대구시의회 제공 |
이만규 대구시의회 의장이 '역사도시 대구' 복원을 위해 '완전한 형태의 경상감영과 대구부아 복원'을 대구시에 제안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 시행에 따라 대구시의회가 독립된 이후 대구시에 제안한 첫번째 정책이다. 대구시는 제안된 정책에 따라 타당성 여부를 검토한 후 사업에 이를 반영할 수 있다.
경상감영 복원·정비계획은 대구시가 2015년 경상감영의 국가문화재(사적) 지정 및 선화당, 징청각 외 경상감영의 다른 부속건물들을 복원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대구 역사문화 관광벨트 구축'의 핵심사업으로 추진됐다.
그간 문헌조사와 고증을 통해 경상감영, 대구부아, 객사 위치 확인, 사적지 지정, 정문 실체 발굴 등의 성과도 있었다. 하지만, 대구부아 및 객사터가 제외돼 반쪽짜리 복원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지난 5월엔 대구중부경찰서 청사 신축부지에서 발굴 조사 중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기초(초석) 2기 등 유물 및 유구가 확인됐다. 그간 추정만 되던 대구부아의 실체가 확인된 것.
이에 이 의장은 현장조사와 분석을 통해 △대구중부경찰서 대체부지 마련 및 이전 △대구부아와 객사터를 포함한 경상감영 복원정비계획 수립 △출토 유물 및 유구의 현장보존 등 완전한 형태의 복원 방안을 담은 정책을 대구시에 제안했다.
시의회는 이번 정책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경상감영, 대구부아, 객사터가 원래의 위치에 복원이 되는 사례인 만큼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보고 있다. 향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의 동력이 될 수 있다고도 판단했다.
이만규 의장은 "중구의원 시절부터 경상감영 원형 복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고민의 결과가 1호 정책제안으로 이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서민지기자 mjs858@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