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광주의 상공회의소가 손을 맞잡고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금리 인하'를 정부에 공식 건의했다.
대구상공회의소와 광주상공회의소는 5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공동 건의서를 대통령실과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정책 당국에 전달했다.
양 기관은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와 미분양 증가, 자금경색 심화로 지역 건설사들이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서 하도급 업체까지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며 "특히 PF대출을 제때 갚지 못하면서 금융기관 연체액과 연체율이 증가하는 등 지역 건설사의 위기가 심각한 상황"이라고 건의서 전달 취지를 설명했다.
지역 건설사들의 위기 심화는 PF대출 금리가 과도하기 때문이라고 양 기관은 주장했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브리지론이나 PF대출 시에는 기본 금리가 9%대 이상으로 과도하게 급등해 지역 건설사 부담이 가중됐다"며 "건설사들은 특성상 자금 사정이 연쇄적으로 맞물린 경우가 많아 근로자 임금 체불, 수분양자의 입주 지연 등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고 했다.
대구·광주상의 관계자는 "건설업은 지역 경제 성장을 주도해 온 핵심 산업이다. 업계가 이번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 지역과 국가 경제를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대구상공회의소와 광주상공회의소는 5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공동 건의서를 대통령실과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정책 당국에 전달했다.
양 기관은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와 미분양 증가, 자금경색 심화로 지역 건설사들이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서 하도급 업체까지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며 "특히 PF대출을 제때 갚지 못하면서 금융기관 연체액과 연체율이 증가하는 등 지역 건설사의 위기가 심각한 상황"이라고 건의서 전달 취지를 설명했다.
지역 건설사들의 위기 심화는 PF대출 금리가 과도하기 때문이라고 양 기관은 주장했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브리지론이나 PF대출 시에는 기본 금리가 9%대 이상으로 과도하게 급등해 지역 건설사 부담이 가중됐다"며 "건설사들은 특성상 자금 사정이 연쇄적으로 맞물린 경우가 많아 근로자 임금 체불, 수분양자의 입주 지연 등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고 했다.
대구·광주상의 관계자는 "건설업은 지역 경제 성장을 주도해 온 핵심 산업이다. 업계가 이번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 지역과 국가 경제를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박종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