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성수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이 13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K-시티즌 퍼스트 프로젝트' 추진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경북도가 미국 FEMA(연방재난관리청) 위기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대형화되는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민·관 협력 사전 예방 체계인 'K-시티즌 퍼스트 프로젝트'를 추진 한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1월 재난안전실과 자치행정국 통합을 통해 안전행정실을 출범시킨 경북도는 2022년 '울진 산불'과 '포항 힌남노 피해', 지난해 '북부권 집중호우' 등을 반면교사 삼아 경북형 재난대응 체계로의 대전환을 통해 재난 발생 시 한 명의 인명이라도 더 구하겠다는 각오다.
이를 위해 도는 '인명 우선', '총력 대응', '민간 협력'이라는 경북형 재난대응 3대 원칙 아래 △미국 FEMA 위기관리 시스템을 선도적으로 도입하는 '사전 예방 체계로 대전환'과 △단위 부서 중심에서 전 부서 동원 체제인 '현장 중심의 총력 대응체계로 대전환', △대학·기업·연구소와 협력하는 '민간 협력 시스템으로 대전환' 등 3대 전환을 목표로 정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강수량이 시간당 20㎜, 하루 60㎜, 누적 150㎜가 넘으면 주민대피 명령이 발동되는 시스템이다. 이는 산림청 주민 대피 시스템 기준보다 한층 강화된 기준이다.
특히 주민대피 시스템은 주민 실정에 맞춰 마을마다 이장, 자율방재단 등으로 '마을 순찰대'를 구성, 재난 관련 예찰 활동을 강화한다. 마을별 대피 전담 공무원도 별도 지정해 상황 발생이 예측되면 경찰, 소방 등과 함께 주민이 안전하게 대피시킨다.
![]() |
경북도 제공 |
재난 대응체계에 미국 FEMA 위기관리시스템도 도입해 현재 '예방-대비-대응-복구' 4단계를 '예방-주민보호-피해경감-대응-복구' 5단계로 바꾼다.
경북도 위기관리센터, 대학, 연구원이 공동으로 사전 징후 분석, 재해별 체크리스트 작성 등으로 위기 예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해 원인 분석·연구로 캘린더형 안전 플랜도 만들어 사전 대비한다.
산불 대응을 위해서는 산림청, 소방본부와 함께 119 산불특수대응단과 신속대응팀을 전국에서 처음으로 운영하고, 울릉을 제외한 모든 시·군에 산림 진화 헬기 배치키로 했다. 야간 진화가 가능한 초대형 산불 헬기도 530억 원을 들여 2026년 9월까지 도입키로 했다.
또 산사태 취약지역을 6천개 소까지 확대하고, 산림안전 진단을 통해 읍·면·동 단위까지 상세정 보를 제공하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재난 예측정보시스템을 활용한다. NOAA 시스템은 올해 안동과 경산에서 시범 실시한 뒤 내년 22개 시·군에 전면 도입할 예정이다.
![]() |
경북도 제공 |
도는 산불 등 재난 전문가 육성과 행정절차 간소화에도 나선다. 해당 부서에서만 10년 근무하면 사무관, 20년 근무 시 국장으로 승진하는 'K-안전 스페셜리스트 프로젝트'와 함께 재해복구 등의 행정절차를 6개월 이상에서 최대 2개월 단축시키는 '재난복구 패스트 트랙'도 도입키로 했다.
대규모 이재민 발생에 대비해서는 호텔, 리조트 등 개별생활이 가능한 1만 명 규모의 숙박시설과 구호 세트가 갖춰진 선진국형 이재민 대책도 마련했다.
![]() |
박성수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이 13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K-시티즌 퍼스트 프로젝트' 추진 방향에 대해 설명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임성수기자 |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을 총결집해 어떠한 재난 속에서도 도민을 지키고 보호하겠다"면서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극한 재난 속에서도 지방정부의 제1의 책무는 '도민 보호'"라고 강조했다.
글·사진=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