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0일 경북도의회 배한철 의장 등 국제친선교류단 일행이 베트남 호치민국립대학교를 방문했다.<경북도의회 제공> |
![]() |
지난 20일 경북도의회 배한철 의장 등 국제친선교류단 일행이 베트남 호치민국립대학교 내 베트남 새마을운동연구소를 방문했다.<경북도의회 제공> |
![]() |
지난 20일 경북도의회 배한철 의장 등 국제친선교류단 일행이 베트남 호치민 내 삼성전자 1차 협력사인 대영전자 공장을 방문했다.<경북도의회 제공> |
경북도의회 배한철 의장 등 국제친선교류단 일행이 지난 20일 베트남 호치민국립대학교를 방문해 대학 현황을 청취하고 대학 내 새마을운동연구소를 둘러봤다.
호찌민국립대는 베트남의 국가대학 중 하나로 7개 대학으로 구성돼 있는데, 학생 수만 8만5천 명에 달하며 교원 수도 4만 3천 명이다.
1994년에 인문사회과학대 내 한국학과가 개설돼 현재 800명의 학생이 수강 중이다.
특히 2016년 8월부턴 경북도와 호찌민국립대가 50%씩 부담해 대학 내 베트남 새마을운동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오티펑란 호찌민국립대 인문사회과학대학 총장이 소장을 겸임하고 있다.
베트남 새마을운동연구소는 경북도에서 새마을재단을 통해 연구·교육·행사·출판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고, 대학은 연구소에 대한 지원과 사무실 및 전시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또 새마을재단과 호찌민국립대와의 공동운영을 통해 새마을운동과 베트남 신농촌개발정책 연구·주민연수·메콩델타 지역 등의 농민 및 공무원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오티펑란 총장(새마을운동연구소장)은 환영 인사를 통해 "지난 3월 경북도를 방문하고 이번에 경북도의회에서 저희를 찾아줘서 양 지역의 협력을 다시금 확인하는 자리가 됐다"며 "인문사회과학대학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경북도의회 차원의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한다"고 했다.
배한철 의장은 방문 인사를 통해 "경북도 내 40여 개 대학교에는 7천500명 정도의 외국인 유학생이 있는데, 그중 베트남 유학생이 2천300여 명으로 호치민국립대 학생들과도 많은 교류를 희망한다"면서 "베트남 최고의 대학에서 새마을운동 전파에 앞장서고 있는 것을 볼 때 베트남의 미래는 더욱 밝아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국제친선교류단 일행은 마지막 일정으로 호찌민 내 삼성전자 1차 협력사인 대영전자 공장을 방문해 현지 법인장 등과 만나 기업 현황과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경북도와 호찌민 간 상호발전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한편, 대영전자는 경북 경산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베트남 호찌민 공장은 2016년 설립해 생활가전부품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베트남 내 종업원 1천200명에 연매출은 1천700억 원 정도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