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 행정통합 민관합동추진단 조직도. 경북도 제공 |
도는 기존 행정통합 실무추진단을 민관통합 협력 추진체계로 확대 개편한 '행정통합 민관합동추진단'을 구성해 본격적으로 활동에 들어 간다고 12일 밝혔다. 추진단은 통합대구경북의 동서남북 균형발전전략과 초광역발전구상 등 통합 청사진을 마련하게 된다.
경북도 행정통합 민관합동추진단은 △행정통합추진단 △통합자문위원회 △통합연구지원단 3대 조직을 바탕으로 절차 진행에 따른 통합 업무의 적극적인 추진과 시·도민 공감대 형성 등의 활동에 나서게 된다.
행정통합추진단은 기존 자치·분권 정책을 준비하고 총괄해 온 지방시대정책국장이 담당하며, 과거에도 공론화와 통합 실무를 추진했던 지방시대정책과와 전략기획부서인 미래전략기획단이 각각 통합 추진과 통합 전략 수립 업무를 맡게 된다.
통합자문위원회는 2020년 구성돼 활동했던 공론화위원회의 연장 선상에서 도민을 대표하는 경북도의회와 학계 및 시민사회 인사들이 포진되며, 중앙정부의 권한 이양과 관련해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인사들까지 포함될 예정이다.
![]() |
지난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구·경북 해정통합 관계기관 간담회에 앞서 이상민(왼쪽부터) 행정안전부 장관, 이철우 경북도지사, 홍준표 대구시장,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정성현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이번 민관합동추진단 구성과 운영은 역사적인 대구·경북 통합의 문제를 도민의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좀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것"이라며 "모든 추진 과정의 우선 순위는 경북도민에 있다"고 강조했다.
경북도의 이번 민관합동추진단 구성은 이번 통합의 성격이 단순한 행정기관 통합을 넘어 지역의 새로운 균형 발전 전략과 이를 뒷받침하는 권한·재정 이양 등 국가 차원의 지방자치 관련 제도개선 등에 대한 세밀한 디자인이 필요할 뿐 아니라 시·도민들의 공감대를 위한 청사진을 더욱 종합적이고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행정통합은 시·도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 국가지방행정체제의 근본 틀을 바꾸는 크고 어려운 역사적 과제"라며 "도민 한 분의 목소리라도 더 듣고 통합의 내용과 통합 이후의 새로운 발전구상을 면밀히 준비하고 추진겠다"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