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성수(왼쪽 앞줄 첫째)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이 26일 세종정부청사에서 열린 행정안전부 주재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및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 추진상황 점검회의에서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지난해 극한 호우로 인명 피해가 발생한 이후 주민대피시스템을 확 바꾼 경북도가 '주민대피 시스템' 우수 사례 지자체로 선정됐다.
26일 세종정부청사에서 열린 행정안전부 주재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및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 제23차 추진상황 점검회의에서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인 'K-마~어서대피 프로젝트'가 우수 사례로 선정돼 박성수 경북도 안정행장실장이 직접 사례를 발표했다. 마~어서대피는 '마(마을순찰대와) 어(어둡기 전) 서(서둘러) 대(대피소로) 피(피하세요)'를 의미한다.
경북도는 지난 7월 집중호우로 북부권 24개 읍·면·동에서 500㎜ 이상의 폭우가 쏟아지는 등 산사태 위험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았지만, 기존 관(官) 주도의 대피체계에서 벗어나 주민이 주도하는 마을순찰대 중심의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 대전환'을 통해 단 한 명의 인명피해도 없어 이번에 좋은 평가를 받았다.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은 지난해 극한호우 속에서 주민들을 구해낸 이장들의 경험과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사전 대피만이 주민 스스로를 지키는 유일한 방안이라 판단하고 △12시간 사전예보제 △1마을 1대피소 △마을순찰대 △주민대피협의체를 구축하는 등 민·관이 협력하는 주민중심형 재난대응 모델이다.
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경북도는 올해 초부터 2개월간 지난해 산사태 피해지역(예천·봉화·영주 등) 재난부서와 마을이장, 전문가와 여러 차례 회의를 가졌다.
특히 3월부터 5월까지 시·군 및 안전전문가 그룹을 통해 마을대피소를 점검하고, 5~ 6월 도내 22개 시·군 5천 189개 마을에 마을순찰대를 구성하고 발대식과 함께 실제 훈련을 2개월에 걸쳐 진행했다.
이후 7월부터 집중호우에 대비해 19차례 걸쳐 마을순찰대 3만592명을 가동, 산사태 등 위험지역에서 14차례에 걸쳐 주민 5천530명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켰다.
위험하면 대피하고, 대피하면 안전할 수 있다는 선진 도민 의식의 대전환을 이루는 계기가 된 것도 큰 의미가 있다.
도는 기존의 불편하고 지루한 대피소가 아닌 개인 숙박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선진 대피시설과 무료함을 달래는 건강 및 행복 프로그램도 도입해 어르신들의 대피를 유도했다. 무엇보다 유사 시 주민대피를 도와 골든타임 내 인명피해를 막나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공무원의 도리이고 제1의 책무"라며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과 선진 도민 의식을 총결집해서 어떠한 재난 속에서도 도민을 지키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