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로 의료진이 들어가고 있다. 영남일보 DB |
지난해 서울지역 '빅5' 대형병원을 찾은 환자 4명 중 1명 이상이 비(非)수도권 거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빅5 병원 진료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 등 빅5 병원을 찾은 환자는 모두 266만146명이며, 이중 비수도권에서 '원정진료'를 온 경우가 27.1%인 72만1천930명이었다.
빅5 병원 환자 중 비수도권 거주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25.5%이던 것이 2021년 25.8%, 2022년 26.6%에 이어 2023년 27.1%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원정진료 환자는 2020년 59만3천577명이었던 것이 4년 사이 21.6% 늘어난 반면, 수도권 환자의 증가율 11.9%에 머물러 2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중증 및 희귀질환자의 서울 빅5 대형병원 원정진료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과 2023년 사이 이들 병원의 비수도권 암 환자는 18.2%, 심장질환자는 23.1%, 뇌혈관질환자는 26.6%, 희귀난치성질환자는 32% 증가했다.
환자 1인당 진료비는 수도권 환자가 217만7천원인데 비해 비수도권 환자는 326만1천원으로 100만원 이상 많았다.
장종태 의원은 "지방 환자들이 교통비, 숙박비 등 이중, 삼중의 비용을 들여가며 빅5 병원으로 먼 길을 찾아오는 것은 지역 의료인프라에 대한 충분한 투자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방증"이라며 "지역완결적 의료체계 확립을 위해 국가의 책임과 역할이 더 커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