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미국발(發) 상호관세를 놓고 미국과 중국의 강대 강 대치가 빚어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2009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랐다. 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5.4원 오른 1천473.2원이었다.
주간 거래 종가 기준 2009년 3월 13일(1천483.5원) 이후 16년여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천471.0원에 개장해 1천466.3원까지 하락했다가 상승해 오후 3시쯤 1천473.9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환율 상승은 미국이 9일부터 34%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하자, 중국이 같은 세율로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맞대응 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중국 인민은행이 이날 오전 달러·위안 거래 기준환율을 전장 대비 0.0058위안(0.08%) 오른 7.2038위안에 고시한 점도 영향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위안화 절하 고시는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 하락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화도 동조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시각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36% 상승한 102.916을 나타냈다.
한편 전날 급락했던 코스피는 이날 소폭 반등해 2천330선을 회복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0.26%(6.03포인트) 오른 2,334.23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1.10%(7.15포인트) 오른 658.45를 나타냈다.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