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 제공>
올해 고교 1학년이 2027년에 치를 수능 9월 모의평가(모평) 시행 일정이 8월로 앞당겨졌다.
학생은 기존 9월 모평 성적이 나오기 전에 수시 원서접수를 했어야 했지만, 8월로 당겨지면서 모평 성적을 확인한 후 대입 전략을 세울 수 있게 됐다.
15일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8학년도 하반기 수능 모의평가 일정 변경안'을 발표했다.
교육부·시도교육청·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현재 고1 학생이 치르게 될 2028학년도 수능부터 하반기 모평시기를 9월이 아닌 8월에 시행키로 했다. 상반기 6월 모평은 기존대로 시행된다.
교육부 측은 “하반기 모평을 8월 넷째 주나 다섯째 주로 앞당기고 9월 수시 원서접수 일정을 일주일이나 열흘 정도 미루면 모의평가 성적을 받아보고 수시 지원을 할 수 있다"며 “대학들과도 협의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그간 학교 현장에선 9월 모평 성적이 통지되기 전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마감돼 대입 예측 가능성이 저하되고, 이를 틈 타 불안 심리를 이용한 사교육 홍보가 성행한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이날 교육부는 2028 대입제도 개편안이 처음 적용되는 현 고1 학생의 수능 준비를 돕기 위해 '2028학년도 수능 예시 문항'을 공개했다.
2028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은 선택과목이 폐지되고 문항 수와 시험시간은 현행과 동일하게 45문항·80분으로 유지된다. '수학 영역'은 선택과목이 폐지되고 문항 수와 시험시간은 현행과 동일하게 30문항(단답형 9문항 포함)·100분으로 유지된다.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도 선택과목이 폐지되고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이 출제된다. 각각 25문항·40분으로 운영된다.
차상로 송원학원 진학실장은 “모평을 8월로 앞당긴 점은 환영하는 교육 정책이다. 학생이 모평 성적을 확인한 이후 수시 전략을 짤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며 “다만 현재 고2 학생에도 8월 모평을 적용할 수 있는 시점이지만, 포함이 안된 것은 아쉽다"고 말했다.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