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과연합회가 31일 정부 세종청사 앞에서 사과수입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한국사과연합회 제공

서병진 한국사과연합회장이 미국산 사과 수입 반대 결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한국사과연합회 제공
정부가 미국과의 통상협상에서 쌀·소고기를 개방 하지 않기로 최종 합의했지만 이외 농작물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되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농산물 수입 전면 개방을 시사한 만큼 까다로운 검역 과정을 거쳐야 하는 사과가 타깃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31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한미 관세협상에서 쌀과 소고기 이외의 구체적인 품목별 논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미국은 농산물 수입 시 거쳐하는 국내 수출 위생·검역(SPS) 규제 완화를 꾸준히 요구하고 있어 경북지역 농민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한국사과연합회 소속 농민 1천여명은 이날 정부 세종청사 앞에서 한미 간 타결된 관세협상과 관련, 사과 수입 불가 원칙을 확고히 밝혀줄 것을 정부에 거듭 촉구했다. 이들은 "미국산 사과 수입을 절대 허용할 수 없다"며 "통상압력에 경솔히 양보하는 순간, 연쇄적 시장개방과 농업 기반의 급격한 붕괴가 뒤따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서병진 한국사과연합회장(대경능금농협조합장)은 "작은 검역 실수로 과수화상병이 유입돼 2천억원 넘는 피해와 농가의 눈물, 국민 먹거리 불안을 경험했다"며 "과학적 검역과 지속가능한 한국 농업, 건강한 식탁, 튼튼한 농촌공동체를 반드시 지키겠다"고 말했다.
전국 최대 농업경영자 단체인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는 미국과의 농산물 협상에 대한 정부 입장을 요청했다. 한농연은 성명서를 내고 " 사과의 경우 타 품목과 달리 정부가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않아 당분간 논란이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동식물위생·검역(SPS) 완화가 당장은 아니라도 사과 시장 개방을 부추길 것이란 의견이 확산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