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농해수위 위원들이 4일 한미 관세협상 농업분야 간담회를 개최하고 있다. <정희용 의원실 제공>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하 농해수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이 4일 한미 관세협상 농업분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후 농업 분야에 미칠 영향 등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기 위해 과수 단체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국민의힘 농해수위 간사인 정희용 의원과 조경태·이만희·김선교·서천호·조승환·강명구 위원은 이날 국회 본청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실에서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선 경북도가 사과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설명했고 서병진 한국사과연합회 회장, 박철선 한국과수농협연합회 회장, 남정순 농협사과전국협의회 회장 등 농민단체의 토론이 이어졌다.
농민단체들은 현장의 불안감을 호소했다. 박 회장은 "미국산 사과 수입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현장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한 품목에 대한 수입 문제를 넘어 식량주권과 국민 먹거리의 미래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걱정된다"며 우려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정부의 불충분한 설명이 현장의 불안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 원내대표는 "농산물 분야에 대한 비관세 장벽, 과채류에 대한 검역 절차 개선 협의 등에 대한 논의가 계속 이어질 것이 분명한데도, 농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에 이재명 정부의 설명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국내 쌀·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과 관련해 이재명 정부와 미국 트럼프 행정부 간 명백한 해석 차이를 보이고 있어 농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며 "특히 이번 한미 관세협상에서 '검역 절차 개선' 협의 사실이 확인됨에 따라 국내 과수 농가의 생존권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고 했다.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