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동로보틱스가 11일 공개한 음성인식과 대형언어모델(LLM)을 적용한 신개념 운반 로봇의 필드테스트 영상. <대동 제공>
"경북지역 사과 농장 등에서 실증 테스트에 한창입니다. 고령화된 농촌 현장의 혁신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대동그룹의 인공지능(AI) 로봇 전문 기업 대동로보틱스가 자율주행을 넘어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운반 로봇 개발에 착수했다. 단순히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넘어 작업자와 소통하고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지해 농촌 작업을 수행하는 '피지컬AI(Physical AI)' 실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대동로보틱스는 음성인식과 대형언어모델(LLM)을 적용한 신개념 운반 로봇의 필드테스트 영상을 11일 전격 공개했다. 로봇 기술 고도화를 통해 미래 농업의 청사진을 제시한 것이다. 이 로봇은 내년 출시를 목표로 현재 경북지역 사과 농장 등에서 실증 테스트가 한창이다.
이번 모델의 핵심은 AI의 핵심 기술인 '비전언어동작(VLA)' 기능을 탑재한 것이다.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가 주변의 '트럭'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사용자가 "트럭 옆에 대기해줘"라고 말하면, 그 의미를 파악해 스스로 이동해 대기한다. 복잡한 기기 조작 없이 자연스러운 대화로 로봇을 제어할 수 있어 디지털 기기에 익숙지 않은 고령의 농업인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또 거대언어모델을 기반으로 날씨나 작물 재배법, 병해충 정보 등 농사 관련 질문에 막힘 없이 답해주는 도우미 역할도 수행한다. 작업자는 로봇과 대화하며 필요한 정보를 바로 얻고, 운반 작업을 지시하는 등 새로운 차원의 작업 편의성을 경험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동로보틱스는 다중 로봇 연동 기능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여러 대의 로봇이 서로 협력해 작물을 운반하는 기능이다. 그룹 내 AI 전문 기업인 대동애그테크·대동에이아이랩과 협력, 데이터 분석 및 원격 운영 시스템을 고도화 해 로봇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 할 방침이다.
대동 관계자는 "운반뿐만 아니라 농업 전반에 필요한 인공지능 로봇 라인업을 지속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동현(경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