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윤 논설위원
2026년 6·3 지방선거는 이재명 대통령 당선 딱 1년 만의 전국 단위 선거다. 대선 후 1년 내 치러진 지방선거는 모두 여당이 이겼다. 2018년 더불어민주당이 광역단체장 17곳 중 14곳, 2022년엔 국민의힘이 12곳 승리했다. 이번에도 그럴까.
이르긴 해도 내년 지방선거는 지방의 이슈보다는 '이재명 정부 심판' 또는 '중간평가'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여당은 '계엄 청산'과 '개혁'의 칼을 끝까지 놓지 않으려 무던히 애쓸 것이다. 공평하게 주어진 시간이지만 남은 시간은 야당 편이다. 개혁적 정부의 숙명이다. '청산'과 '개혁'은 아직은 소구력을 유지하지만, 그때쯤엔 김 빠진 맥주처럼 식상한 이슈로 전락할 터이다. 개혁의 피로감이 엄습하기에 1년은 충분한 시간이다. 그 식상함이 잠자던 '정권 심판' 구호를 각성시키는 명분이 되리란 사실을 민주당은 깨닫지 못하고 지방선거를 맞을지 모른다. '정권 심판'의 파괴력은 압도적이다. 지난 모든 선거가 이를 증명한다. '정권 심판'의 사이클이 돌아오는 시점에 지방선거가 걸쳐있는 건 주목할 관전포인트다.
집권여당엔 하나의 과제와 하나의 변수가 있다. 첫째, 진보 최대 약점을 직시해야 한다. 마땅한 차기 대권 후보감이 없다. 포스트 이재명을 꿈꾸는 후보군을 둘러보라. 무게감과 지명도, 경쟁력이 야권 후보들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범여권 대권주자 선두 조국(41.7%)은 서울시장 여론조사에서조차 오세훈(43.2%)에 밀린다.(미디어토마토·16일) 매력적 미래 지도자가 부재한 정당에 유권자의 애정과 기대는 오래 머물지 않는다. 지방선거에도 뼈아픈 핸디캡이 될 것이다. 6·3 지방선거는 차기 총선과 대선의 전초전이다. 여권이 새 대권주자의 부상과 발굴, 육성의 장으로 이 선거를 활용하지 않으면 큰 낭패를 당할 것이다.
둘째, '개헌'이다. 지방선거의 타개책이자 변수다. 지방선거와 개헌 국민투표의 동시 실시는 투표율 제고는 물론 선거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지방선거를 앞둔 개헌 논의는 정치개혁과 지방분권, 균형발전 경쟁을 유발할 것이다. 이건 집권당이 주도하는 이슈다. 개헌과 정권심판 두 의제가 팽팽하게 균형 맞출 지방선거 구도가 자못 흥미롭다.
대구·경북엔 이상 조짐이 흐른다. 영남일보·리얼미터 여론조사(14일)는 '이진숙·김부겸 급부상'을 예고했다.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에서 나란히 1, 2위를 차지했다. 무주공산, 우후죽순으로 특징짓는 대구시장 선거에 '1강'이 등장하자 전국적 관심이 쏠렸다. 두 사람 모두 출마가 불투명하다. 이진숙은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김부겸은 현실정치와 거리 둔 지 오래다. 무엇보다 몸이 대구를 떠날 때 마음도 떠났음 직하다. 마음을 다시 돌릴 확신과 명분을 찾는 게 우선이다. 진보 진영은 대구를 바꿀 '마지막 도전'이라 한다. 보수 텃밭에서 그나마 자웅을 겨룰 진보 후보로 그만한 인물은 당분간 없다. 마지막 도전이 맞다. 그는 과연 이 절박한 호소에 응답할까. 김부겸이 출마한다면 국민의힘에서도 '아무나 공천'은 못할 것이다.
예비후보 등록일이 꼭 D-110이다.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 선거에서 8전 전승을 거둔 국민의힘. 이번에도 후보군만 30~40명에 이른다. '하고 싶은 사람' '(공천만 받으면)될 사람'은 필요 없다. 대구·경북에 새 희망과 모멘텀을 줄 리더, 반드시 '돼야 할 사람'이 우리에게 긴실(緊實)하다.

이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